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X선현미경의 위치를 회복시켰다. 세포와 같은 생물 조직체에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않고도
자연
그대로의 고분해능 영상의 획득이 가능해진 것이다. 1㎜보다 작은 시료의 내부 입체영상을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고, 결정체의 결함과 왜곡상태를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1953년 왓슨과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점토가 다소 형태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까닭은 점토의 결정이 아주 미세하기 때문이다.
자연
에 가장 흔히 존재하는 스스로 조립된 물체가 결정이다. 설탕, 얼음조각 등의 분자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질서정연하게 조립되어 결정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완벽한 결정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부분 표면에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형성하는 무성생식은 자신의 모든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몽땅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자연
선택이 자신의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는 후손을 선호하면서 개체들에 작용한다고 가정해보면 성은 아무런 의미도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제 정신이라면 누가 교미를 선택하겠는가!무성생식인 클로닝은 ... ...
'세계 공룡 대전'-쥐라기 지구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미국의 스미소니언
자연
사 박물관처럼 세계적 규모의 박물관은 접어두고라도 변변한
자연
사 박물관하나 없는 우리 실정에서 이번 세계공룡대전은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에게도 지구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보기 드문 교육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 ...
개미, 뛰어난 기억력 지니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Selysi)와 마니카 루비다(Manica rubida)란 두 종의 갓 부화한 일개미를 같이 사육했다. 이 둘은
자연
상태라면 결코 같이 살지 않는 종이어서 이 실험에는 안성맞춤이었다.3개월 후 이 두마리의 개미는 각각 자신이 속한 종 특유의 냄새를 발산하기 시작했는데, 이때 에라드는 둘을 분리하고 8일과 1년 ... ...
나폴레옹 이집트 원정, 근대과학에 큰 영향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있는데 이는 화가나 고고학자가 아니라 건축가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졌다.또 이집트의
자연
환경도 중요한 '실험실'이 되었다. 신기루의 해명이나 소금호수에서의 관찰이 계기가 된 화학반응의 가역성 발견은 환경의 차이가 낳은 성과다. 게다가 젊은 동식물학자들은 이집트에서의 조사를 기초로 ... ...
한국의 새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지적되는 현실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일이다.금성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인 한국의
자연
과학물을 타이틀로 제작해 국내외 시장에서 수요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히고 있다.윈도스 환경에서 작동하는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386DX급 이상에 VGA 그래픽카드와 4MB 이상의 메모리, 15MB 이상의 ... ...
곤충 연구하며
자연
의 신비 캔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어렸을 때 곧잘 곤충과 벗하며 놀았다. 오늘날같이 훌륭한 장난감이 없었고 더욱이 농촌에서 자라다 보니 곤충이 장난감을 대신해 주었다. 잠자리 ... 의미에서는 형태발생의 문제가 되기도 한다. 아무튼 이렇게 곤충연구를 통해 지금도
자연
의 신비를 캐는 일에 큰 보람을 느끼며 지낸다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좀더 무질서적인 상태로 변화하려는 속성을 타고난 것이다. 이런 변화하려는 속성을
자연
과학에선 '비가역적 현상'(irreversible process)'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물컵속에 퍼진 잉크분자가 어느 시기에 '한번 뭉쳐볼까?'하고 원래 한방울의 잉크로 뭉치는 가역적(reversible) 현상은 절대로 없다.우리 인류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선박들의 항해지표로서 그 역할과 임무를 수행해 오고 있다.이와 같은 등부표는 태풍 등
자연
력에 의해 자주 이탈 유실돼 매번 재설치하고 있다. 잦은 유실로 지친 해운항만청은 부이식 항로 표지 대신에 고정 구조물에 의한 등대의 설치를 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어도 해양관측 기지의 구조물에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