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행성 사냥꾼’ 케플러, 임무 종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연료가 바닥나 영원히 잠들 거라고 발표했어요. 케플러는 NASA가 2009
년
발사한 첫 번째 외계 행성 탐사용 우주망원경이에요. 케플러는 행성이 공전하면서 별 앞을 지나갈 때 생기는 미세한 밝기 차이를 측정해 외계 행성을 찾아요. 별의 밝기 차이에 따라 행성의 크기도 ... ...
[가상인터뷰] 혹등고래가 세레나데를 멈춘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있지. 도움이 필요할 땐 언제든 나를 불러. 나는 위험에 빠진 친구를 잘 구해준단다. 2018
년
1월에는 남태평양에서 스노클링을 하던 사람을 구해준 적이 있어. 일리 : 친구들이랑은 어떻게 의사소통해? 혹등고래 : 우리 고래들은 소리로 의사소통을 해. 머리에 있는 ‘소리 입술’이라는 기관에 ... ...
Intro. 지구 밖 실험실에선 무슨 일이? 국제 우주 정거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아운
년
’이야. 올해 11월 20일은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우주로 나간 지 딱 20
년
이 되는 날이라, ISS 스무 살 축하 파티를 준비하고 있지! 하지만 생일파티가 조금 허전하네. 아마도 생일을 함께 축하해 줄 사람들이 많이 없어서겠지. 무슨 일이 있었냐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말했다. 연구 2 우주에서 재활용을 할 방법을 찾아라! 일반적으로 네 명의 우주인이 1
년
동안 ISS에서 생활하면서 배출하는 쓰레기는 약 2500kg에 달한다. 현재는 우주인이 직접 쓰레기 봉투에 쓰레기를 넣어서 모은 뒤, 이를 지구로 귀환하는 우주선에 한꺼번에 실어 처리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982
년
미국의 심리철학자 프랭크 잭슨은 ‘매리의 방’ 생각 실험을 고안했어요. 실험은 이렇습니다. 매리는 색깔에 알레르기가 있어요. 그래서 줄곧 흑백 방에 갇혀 살며 단 한 번도 색깔을 본 적이 없지요. 심지어 흰 우유와 흰 쌀밥과 같은 무채색 음식만 먹고 살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매리는 흑백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해요. 대기압을 처음으로 측정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과학자 토리첼리예요. 그는 1643
년
, 수은 기둥을 이용해 대기압이 76cm 높이의 수은 기둥이 누르는 압력과 같다는 점을 발견했어요. 이는 약 10m 높이의 물기둥이 누르는 압력과 비슷하답니다. 이후 프랑스의 과학자 파스칼이 공기가 희박한 산 ... ...
[헷갈린 과학] 표범이야, 고양이야? 마게이 VS 오셀롯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모피를 얻기 위해 밀렵꾼들이 많은 수의 오셀롯을 사냥했지요. 그 결과, 1972
년
부터 1996
년
까지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목록에서 ‘멸종위기 취약’ 단계까지 몰렸답니다. 다행히 지금은 밀렵으로부터 보호를 받아 ‘관심 필요’ 단계로 회복되었어요 ... ...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다이내믹스’가 만든 휴머노이드 ‘아틀라스’예요. 키 175cm에 몸무게는 80kg 정도로, 2013
년
에 처음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개발되어 점차 다양한 동작을 선보이고 있답니다. 이번 영상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민첩함’이에요. 대부분의 로봇은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걸음을 멈추고 위치와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더 강해진 레이저를 얻을 수 있었답니다. CPA가 등장한 이후 레이저의 세기는 다시 4~5
년
마다 두 배 이상씩 커지고 있어요. 이처럼 새로운 레이저 기술의 등장은 소형 고출력 레이저 개발을 가져와 기초과학 분야는 물론 라식 수술 등 미세한 절단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꼽히는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을 포집하는 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 “1973
년
정부에서 황소개구리를 대량으로 들여왔어요. 이후 우리나라에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널리 퍼져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지요. 재미있게도 황소개구리를 들여온 목적은 ‘먹기 위해서’였답니다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