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0,4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01
유향숙 박사. 현재 유 박사는 1년에 1백억원씩의 연구비를 10년 동안 자신의 계획에 따라
사용
할 수 있는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단장이라는 중책을 맡고 있다. 이런 대형 국책프로젝트의 단장에 응모한 계기도 첫인상처럼 당차다. 자신이 소속된 생명공학연구원이 대학 교수들로부터 제 역할을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01
실제 동일한 DNA를 갖고 있는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그림 2). 친자를 확인할 때
사용
되는 DNA 프로파일링이 바로 이 방법이다. 현재 복제인간을 추진중인 연구진은 복제아기가 정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황우석 교수는“복제된 개체의 정상여부는태어난 이후에나 확인할 수 있다”면서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01
복제에 의해 창조되는 아이들이 받는 신체적 완전성에 대한 중대한 위협은 그 기술의
사용
으로 가져오는 이득을 능가하고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본질적으로 비윤리적인 행위 복제인간의 등장은 필연적으로 우생학으로 향한 문을 연다. 일부 사람이 다른 사람을 마치 인격이 아닌 물체인 것처럼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01
위해서는 고체나 액체상태의 물질을 가스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기존의 질량분석에
사용
한 물질은 대부분 휘발성 성질을 갖고 있어 이 과정이 그리 까다롭지 않았지만 단백질 등의 고분자물질은 대부분 비휘발성 물질이라 이를 가스형태로 만드는 일이 쉽지 않다.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한 방법이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01
숭상하는 나라 중국에서 ‘진흙 용’으로 불리는 양자강악어는 밀렵과 지나친 농약의
사용
으로 서식지가 점점 축소되고 있어 야생에서 멸종하는 최초의 악어종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야생 양자강악어는 1백50마리도 채 남지 않았다. 2001년 초에는 갈라파고스 해역에서 좌초한 유조선에서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01
바실리스크에게 물린 해리 포터의 상처를 눈물로 치료해 준 후,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사용
한다는 덤블도어 교장 선생님의 말을 증명하듯 해리 포터와 지니를 집고 날아오른다.신화 속의 불사조 역시 매우 힘이 센 것으로 알려졌다. 고대의 불사조는 아버지 새가 죽기 직전 태어나며 아버지가 ... ...
모험이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과학동아
l
200301
악기의 원리도 같다.▶▶▶ 필름통에서 소리가 나는 까닭은?필름통 오카리나에는 떨판을
사용
하지 않았다. 따라서 빨대를 통해 불어넣은 바람이 필름통안에서 공명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것이다. 입으로 분 공기는 구멍에서 필름통 안과 밖으로 나뉜다. 이때 필름통의 안쪽으로 들어간 공기가 ... ...
미 최초 위성 익스플로러 발사 45주년
과학동아
l
200301
우주로켓이다. 유럽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3번째로 액체수소와 액체산소를
사용
하는 로켓엔진을 개발했고, 이를 장착한 아리안 5호는 4대의 과학위성을 싣고 화려한 비상을 꿈꿨다. 하지만 발사 40초 후 로켓은 궤도를 이탈하며 폭발하고 말았다. 지상에서 위험을 감지하고 자폭명령을 내렸던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01
구성돼 있다. 고강도와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일부분에는 내식강(CRES)이나 티타늄 소재가
사용
됐다. 주날개 조종면, 수직 꼬리날개, 수평 꼬리날개, 방향타 등의 외판은 최첨단 소재인 탄소섬유 복합재(CFC)로 만들어졌다. 복합재는 중량 대비 강도특성이 뛰어난 점을 활용해 조종면과 꼬리날개의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01
부분은 일일이 손으로 짜깁기해 넣었다. 그러나 원래 종이보다 약간 밝은 색의 종이를
사용
했다. 보수했다는 흔적을 남기기 위해서였다. 보수하는 사람에겐 보수 흔적을 남겨 이 문화재가 훼손됐던 것임을 후대에 알려줘야 할 의무가 있다.금속에 생긴 녹은 꼭 닦아내지 않아도 된다. 국보 92호 고려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