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직장인과 학생들을 위한 인체공학 키보드. 14° 꺾인 갈매기 날개
모양
디자인과 손목 받침대가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도해 손목 통증을 줄여준다.키보드 중앙엔 사진 크기를 마음대로 확대·축소해 볼 수 있는 ‘줌 슬라이더’가 있으며 즐겨찾기 버튼을 이용하면 자주 ... ...
3. 수학은 돈 버는 여의봉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반면에 대학자는 오르는 주가를 보며 군중심리에 빠져서 사태의 본질을 볼 수가 없었던
모양
이다.써먹을데 많은 미적분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고도의 투자기법은 이밖에도 많다. 최근 많은 금융기관들이 VAR(Value at Risk) 기법을 이용해 위험을 관리하고 있다. VAR는 정상적인 시장 여건에서 일정 기간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발을 귀하게 여기라”며 “자신에게 맞는 편안한 신발을 신으라”고 입을 모은다.
모양
만 좋은 패션 신발은 나이 들어 발에 변형을 가져오고 관절에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세대 의류과학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20대는 아직도 신발을 살 때 편안함(43.3%)보다 디자인(54.2%)을 중요하게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사실이 밝혀졌다. 전자는 반짝거리고 매끈한 집락을, 후자는 작은 낟알이 모인 거친
모양
의 집락을 형성했다. 그래서 전염성 폐렴구균은 S형(smooth), 비전염성은 R형(rough)으로 불렸다.영국 보건성에서 폐렴을 연구하던 프레드 그리피스는 S형 폐렴구균을 열로 죽여 R형과 혼합해 생쥐에 주입하자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개념이 없기 때문에 대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중력 상태의 촛불은 둥근 공
모양
이다. 그리고 촛불 주위에 타 버린 기체가 쌓이고 산소도 다 떨어져 곧 꺼지고 만다.우주에서는 완벽한 구를 만들 수 있고 각종 의학 실험도 가능하다. 무중력 환경에서의 연구는 산업 재료에 응용되고 ... ...
표면장력으로 물방울이 송알송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마도따뜻한햇살을받은페트병안의물이수증기가 되어 소풍을 떠나고 싶었던
모양
입니다. 하지만 뚜껑이 닫혀 있어서 페트병 안에서 물방울로 다시 남게 되었어요. 수증기들이 모여 다시 만들어진 물방울을 보면 마치 구슬처럼 둥급니다. 이것은 표면장력 때문이지요. ... ...
부팅시간 '0' 탄소나노튜브메모리칩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0월 4일 ‘네이처’ 온라인 뉴스에 실렸다.이 칩은 실리콘 칩 위의 전극 사이에 작은 다리
모양
의 나노튜브가 걸쳐 있는 구조다. 전류가 흐르면 나노튜브 다리는 아래로 굽어 전극을 건드린다. 나노튜브가 올라가면 1, 내려가면 0의 이진코드를 표시한다. 나노튜브 다리는 전원이 꺼져도 그대로 머물러 ... ...
고대의 하이테크 국가 백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구조적으로 덮고, 지지하고, 버티는 3가지 일을 한다. 일반적으로 홍예석이라 불리는 쐐기
모양
으로 생긴 돌이나 벽돌을 옆으로 쌓으면 홍예가 형성된다. 정점에서 발생한 중력은 각각의 홍예석으로 흩어져 기점(무지개받침)으로 전달돼 큰 힘을 견딜 수 있다.백제의 수도였던 공주지방에는 벽돌로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WHO)는 1994년 헬리코박터를 위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규정했다.사람의 위점막에서 나선
모양
의 세균이 처음 발견된 것은 1874년이다. 19세기말 고양이와 개의 위점막에서도 나선형 세균이 발견됐다. 그러나 이 발견들은 곧 잊혀졌다. 위산으로 가득찬 위 속에서 연약한(?) 세균이 살 수 없다는 것이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수 있다. 김 교수가 미 공군의 요청에 따라 개발한 입자도 비정상적으로 성장한 각진
모양
이다.최근 연구단에서는 크기를 대폭 키운 압전재료를 만드는데 주력하고 있다. 단결정이 가로 세로 5cm로 미 공군에 납품한 것보다 10배 커졌다. 단결정이 실리콘인 경우 반도체를 만드는 웨이퍼에 사용될 수 ... ...
이전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