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있음을 깨달았다. 좋은 예가 바로 곤충의 부착능력이다.곤충의 부착능력은 인공 부착
기술
로는 따라가지 못하는 면들이 많다. 우선 곤충들의 부착능력은 어느 벽이든 가리지 않는 편이다. 이제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곤충들이 붙을 수 없는 자연 구조물은 거의 없다.곤충의 놀라운 부착능력은 ... ...
“코쿤캅, 라온제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라온제나’는 ‘즐거운 사람들’이라는 뜻의 순우리말로, 건국대 태국 해외봉사 팀의 이름입니다. 엄격한 서류 심사와 면접을 통해 선발된 16명의 ‘라온제 ... 즐거운 사람들이 사랑으로 지은 집이 우뚝 서 있습니다. ※이 캠페인은 교육과학
기술
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후원합니다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배양해 로봇의 골격에 연결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는 있겠지요. 현재 상용화된
기술
중 가장 각광받는 방법은 역시 유압식입니다. 하지만 제어하기 편하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싼 전기모터 방식도 포기하기 어렵습니다. 아마도 가까운 미래에 로봇이 상용화 된다면 가정용은 전기모터 방식이,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분사하는 작은 구멍을 만들기 위해 MEMS
기술
로 프린터 헤드를 만들었다. 따라서 MEMS 연구는 원하는 분야의 필요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여기에 덧붙여 전기전자, 기계, 재료, 물리 등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두루 갖춰야 한다. 전 교수는 특히 적극적인 ... ...
남자가 여자의 눈물에 약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유가 눈물의 화학작용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
기술
원의 샤니 겔스테인 박사팀은 24~32세 남성 50명에게 여성의 눈물 냄새를 맡게 했어요. 그 결과 여성의 눈물 냄새를 맡은 남자들은 테스토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요. 테스토스테론은 ...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니라 국제우주정거장에 화물을 운송해 주는 우주선이란다. 하지만 나름대로 첨단
기술
이 쓰였다구! 새롭게 개발된 ‘PICA-X’라는 *내열타일을 붙여 우주선을 보호하고, ‘용의 눈’이라는 센서를 달아 우주정거장과 안전하게 도킹할 수 있도록 했지.무인 우주선 X-37B비행 경험 2010년에 시험 발사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미국 하버드대에서 5년 만에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26세라는 나이로 한국과학
기술
원(KAIST) 수학과 조교수로 임용돼 최연소 교수 기록을 세웠다. 박사학위 논문 외에 별다른 경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KAIST가 파격적으로 그녀를 교수로 임용한 이유는 그녀의 가능성을 염두해 뒀기 때문이다. 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박 교수는 “3D 디스플레이 및 가상 마케팅 같은 새로운 시장이 생길 전망이라 원천
기술
을 빨리 확보해야 한다”며 “앞으로 산업용 중장거리 라이다와 고속 3D 카메라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분해할 수가 없다. 더구나 질소는 악취를 만드는 주역이다. 김윤근 경기 파주시 농업
기술
센터 지도사는 “환경 오염을 막고 악취를 제거하려면 가축 사체를 최대한 빨리 분해시켜야 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실러스 균을 이용해 따로 단백질 성분을 분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고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단백질의 기능을 망가뜨렸더니 ‘지속성 가바’가 나오지 않았다.] 이창준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 신경과학센터의 책임연구원은 별교세포에서 단백질 ‘베스트로핀1’을 발견했다. 별교세포는 이 단백질을 통해 뉴런처럼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했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지속성 가바(GABA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