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갯벌 열대우림보다 훌륭한 탄소 저장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흡수하는지 연구하고 있어요. 갯벌을 직접 찾아간 다음, 진흙을 채취하는 장비를 이용해 1m 깊이의 진흙 표본을 채취해요. 연구실로 돌아온 다음에는 표본을 말린 후, 깊이에 따라 5cm 단위로 나누죠. 그리고 이 표본을 1000℃로 가열해 나온 증기에서 이산화탄소의 양을 분석하면 깊이에 따른 탄소 ... ...
-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 DNA 사냥꾼의 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간단해. 호수에서 물 한 컵만 뜨면 되지. 무슨 말이냐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DNA로 네스호의 괴물을 찾아라! Part2. 배설물에서 DNA를 찾아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라! Part3. 침에서 DNA를 찾아 생태계를 파악하라 ... ...
- 침에서 DNA를 찾아 생태계를 파악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수 있는 반면, 새들은 평균 76개의 열매를 먹었지요. 이를 통해 연구팀은 불곰과 흑곰이 1㎢ 안에서 시간당 20만 개의 씨앗을 퍼뜨릴 수 있다고 추정했어요. 이어 연구팀은 불곰과 흑곰 중 어떤 곰이 땃두릅나무의 열매를 더 많이 먹는지 알아봤어요. 땃두릅나무에 묻은 불곰의 침에서 DNA를 찾아 분석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영 국 국립공학및자연과학연구위원회 (EPSRC)는 이 사진을 ‘2018 과학사진공모전’의 1등 작품으로 선정했어요. 수상 당시 내드링거 연구원은 “이 사진은 눈에 보이지 않는 양자 세계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를 이어 주는 멋진 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는 소감을 밝혔답니다. ●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그렇게 성취감을 느끼다 보면, 무엇을 해야 할지 스스로 알아차리게 될 거예요. 1분과학, 궁금해요! Q왜 ‘과학’을 주제로 동영상 컨텐츠를 만들기 시작하셨나요?과학이 너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었지요. 그런데 친구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 ...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비교해 네스호에 어떤 생물들이 사는지 확인할 예정이에요. 최종 결과는 내년 1월쯤 나올 것으로 예상된답니다. ●인터뷰 : 네스호 괴물이 정말 있을까요? 아무도 모르는 일이죠. 닐 겜멜(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해부학과 교수) Q어떻게 네스호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됐나요?지난 3~4년 동안 환경DNA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건전지도 없는데 걷는다고? 중력의 비밀, 워킹토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스스로 걷는 워킹토이 만들기 [본격 메이킹 비법] 워킹토이를 만들어 보자! 미션1. 무게중심을 찾아라섭섭박사님은 기자단 친구들에게 다각형 모양의 골판지와 실, 클립을 나눠 주셨어요. 고개를 갸우뚱하는 친구들에게 “먼저 무게 중심을 찾는 연습을 해 보자”고 말씀하셨죠.기자단 친구들은 ... ...
- 언제 터질지 모르는 다이너마이트? 도시가 늙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잡아야 하는데…. 일단 도시 곳곳을 뒤져 봐야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도시 노후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한다! Part2. 노후 시설물, 와르르 무너지다! Part3. 노후 다리, 최첨단 기술로 관리하라! Part4.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하게 검사하라! Part5. 재생건축, 건물을 튼튼하게 오래 ... ...
- 노후시설물, 와르르 무너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이 과정에서 다리에 붙어 있던 상수도관도 함께 터져 주변 지역으로 공급되던 물이 1시간가량 끊겼지요.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은 시설물이 더 빨리 노후화돼요. 뜨거운 여름과 추운 겨울을 지나며 아스팔트 같은 재료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해 시설물이 조금씩 손상되지요. 50년 된 ... ...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결과 파손으로 싱크홀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하수관 7만 6000여 개를 발견했지요. 즉, 1km 당 평균 4.9개의 결함이 있는 셈이에요. 환경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5년간 노후 하수관을 교체할 예정이랍니다. 꿈틀꿈틀, 하수관을 검사하는 로봇! 지금까지 하수관을 탐지하려면 내시경처럼 ... ...
이전5445455465475485495505515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