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기체의 농도변화와 용해도에 관한 물리학 법칙인 ‘픽스의 법칙’과 ‘헨리의 법칙’을 이용해 지속생존 가능한 에어포켓의 최소 지름을 계산했다(지면상 계산은 생략한다). 피터슨 박사가 구한 에어포켓의 크기는 지름 400m. 참가자들은 이 계산에 수긍하면서도 “자연적으로 형성된 바닷속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남극처럼 안정된 대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바이셉2는 잠자리 눈모양의 검출기 512개를 이용해 달이 1900여 개가 들어갈 만한 넓이의 우주를 관측했다. 150GHz 주파수대 영역의 신호들을 600여 일에 걸쳐 관측한 결과 마침내 우주배경복사에서 원형편광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런 편광에서 원시 ... ...
- 술 먹는 초파리의 비밀, 뇌지도가 풀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캐리 프리브 교수팀은 초파리의 신경 섬유 1054개를 ‘광유전학(옵토제네틱스)’ 기술을 이용해 일일이 확인했다. 광유전학은 뉴런을 유전학적으로 조작해, 빛을 쬐면 뉴런이 활성화되면서 신경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프리브 교수는 초파리 3만7780마리의 신경 섬유에 일일이 빛을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기술로 가득 차 있는 장치다. 크기도 학생 배낭 정도로 작다.흔히 적정기술은 첨단기술을 이용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박 소장은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구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첨단 시스템이 오히려 더 싸게 깨끗한 물을 ... ...
- 김주황의 악당예찬4 - 스스로 진화하는 로봇 울트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인공지능도 유사하다. 이 인공지능들은 ‘깊이 학습(deep learning)’이라는 기술을 이용한다. 구글 검 색엔진을 예로 들어보자. 아이디 ‘sol*****’를 가진 김 주황이 서울 용산에서 ‘신화’라는 키워드를 검색한다는 사실이 구글 인공지능에 저장된다. 처음에는 신‘ 화’를 검 색했을 때 그리스·로마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하지만 그보다 더 큰 가치가 내재돼 있습니다. 바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소프트로봇을 이용해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죠. 소프트로봇공학은 분명 우리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겁니다 ... ...
- 유전자는 몰라~ 네안데르탈인 덩치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교수팀은 지금은 사라진 친척 인류인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화석의 게놈 정보를 이용해 이들의 유전자 ‘스위치’의 위치와 종류를 조사한 뒤, 그 결과를 ‘사이언스’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유전자를 켜고 끄는 스위치 중 ‘메틸화’라는 화학반응에 주목했다. DNA에 메틸화가 ... ...
- 카페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코일 공진방식(DCRS)’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DCRS는 기다란 막대형의 코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CMRS에서 사용하는 원형 코일과 달리 100배만 증폭시켜도 전송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1000Hz대의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효율성도 우수하다.임 교수는 “2011년 일본 ... ...
- 쓰레기매립지 악취, 자동차 연료로 둔갑!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다.김정훈 한국화학연구원 박사팀은 기체분리막과 흡착기술을 이용한 막분리 혼성 공정을 개발했다. 매립지 가스의 불순물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체 가스에서 메탄을 88% 회수했고, 이를 통해 만든 가스의 메탄 순도를 95%로 정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 ...
- 잠과 꿈의 몽상학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성공해 그 결과를 2013년 5월 ‘사이언스’에 실었다. 연구팀은 fMRI와 뇌자도(뇌 자기장)를 이용해 연구했다. 특히 시각과 관련된 뇌 부위에 주목했는데, 꿈을 꾸는 것은 꿈을 ‘보는’ 행위기 때문이었다. 만약 측정장치에 특이한 신호가 잡히면 자던 사람을 깨워 무슨 꿈을 꿨는지 물어보고 다시 ... ...
이전5455465475485495505515525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