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업
생산업
실업
부지런
근면
기업
사업
d라이브러리
"
공업
"(으)로 총 1,074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산대(기계 분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현장에 가장 많은 기술인력을 투입해 왔습니다. 이는 부산공대가 우리나라 중화학
공업
발전에 묵묵히 많은 기여를 해왔음을 증명하는 것입니다."박 학장은 또 부산공대에 설치된 상공자원부 산하 생산기술연구원 부산·경남지역센터와 지난 2월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우수공학연구센터로 지정받은 ... ...
전남대(자동차 분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때문이다.또한 호남권의 산업구조가 점차 1차산업에서 자동차 자동차부품 철강 등 기계
공업
으로 개편되고 있는 데다 최대 시장 잠재력을 가진 중국으로의 진출이 용이한 지리적 조건 등으로 기업체들이 이곳에 대규모 자동차 공장을 신축하거나 확장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형편.전남대는 이전에 ... ...
충남대(신소재분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계열의 두개 학과, 즉 무기재료공학과(금속 재료 )와 유기재료공학과(고분자 섬유 정밀
공업
화학 화공)로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중부권의 다른 대학의 양성인력을 고려, 계열내 현재의 정원(1천1백 60명)은 그대로 유지해 지역내 소요 인력의 29%를 수급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충남대 역시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인공단백질이란 인간이 생각대로 설계하고 합성해낸 단백질을 말한다. 인공단백질 개발이 현실화되면 인간이 과학의 힘으로 생체설계를 하는 날도 머지않아 다가올 ... 연구성과는 단백질 연구에 크게 공헌하여 새로운 단백질 시대를 열게 할 것이며, 의료나
공업
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
화학 - 물질의 합성 빠르게 하려면…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손으로 고정시킬 수 있었다는 사실 자체에 큰 의미가 있었다.하버의 암모니아 합성을
공업
적으로 이용하려면 수득률을 더 높이지 않으면 안되었다. 온도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림4)에 따르면 2백℃에서 6백 기압 이상의 조건에서 수득률이 매우 높지만 온도가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
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D-T 핵융합반응에서 생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러한 D-T 핵융합반응로는 달의
공업
화 4,5단계에서 만들어져 지구로까지 헬륨3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수소-헬륨3 핵융합로는 수소도 생산한다. 수소는 환원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달의 산소와 결합해 물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중수소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고정화시켜서 바이오리액터를 만들면 지구를 오염시키지 않는 깨끗한 촉매로 유기합성
공업
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체내에서 유전자 발현제어나 독소제거제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분자머신요즘은 대규모집적회로(초LSI)를 만드는 기술이 진보하여 마이크로미터${10}^{-6}$m)보다 작은 ... ...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플라스틱 폐기물을 그대로 또는 다른 물질과 혼합해서 재생하는 것. 재생품으로는 건재
공업
용자재 토목재료 농업용자재 갱목 각종 블록 등 다양하다.이들 폐플라스틱은 파쇄-용융-압축-성형 등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진다.폐식용유 -가성소다 섞어 비누 만든다요즘 폐식용유를 ... ...
폐기물처리연구 16년 - '쓰레기 박사' 별명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오늘에 이르렀다.1958년부터 연세대 화공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70년대 우리나라 중화학
공업
계의 고급 기술인력 양성과 기술개발 연구에 많은 공헌을 했다고 자부한다. 또 1973년 유류파동 이후 에너지 정책의 전환과 급격하게 대두된 환경오염의 심각성에 속히 눈을 돌리어 화학공학자로서는 제일 ... ...
북한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있었다.그러나 한국전쟁 당시 모든 발전소들은 극심한 피해를 입었으며 휴전 후 북한은
공업
투자의 13%를 전력시설 복구작업에 투입했다. 여기에 소련 중국 등 선진 사회주의 국가들의 원조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북한의 기술진은 중소형 수력발전소의 건설과 고압 송전기술을 습득, 6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