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술
과 컴퓨터 설계
기술
, 시멘트
기술
등의 발달로 500m 높이의 초고층빌딩을 짓는 것이
기술
적으로 무리가 없다고 입을 모읍니다. 실제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아랍에미리트의 ‘부르즈 할리파’는 높이가 828m에 달하지요. 그렇다고 문제가 없는 건 아닙니다. 초고층빌딩을 지을 때 ... ...
[과학 뉴스] 블랙홀로 파괴된 별, 빛나는 제트로 탈바꿈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11월 30일 유럽남방천문대와 호주 스윈번
기술
대학교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은 약 85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매우 밝게 빛나는 물질 제트를 발견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 현상에 대해 연구팀은 별이 파괴되면서 블랙홀에서 빛의 속도에 가까운 빠르기로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이라고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임 교수님이었어요. 최근 수상 실적이 주된 추천 이유였습니다. 임 교수님은 2021년 과학
기술
정보통신부가 수학 분야에서 돋보이는 업적을 달성한 수학자에게 주는 상인 ‘최석정상’을 받았습니다. 2022년에는 대한수학회(우리나라 수학이 발전하도록 돕는 단체)가 우수한 논문을 쓴 수학자에게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론물리학과 교수는 “이 차이를 구분해 웜홀을 발견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의 망원경
기술
로는 한계가 있다”며 “웜홀과 블랙홀을 더 쉽게 구분할만한 차이점을 계속 찾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곳으로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 얽힘 현상을 검증하고 양자컴퓨터 등 양자
기술
시대를 여는 데 공헌한 공로로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안톤 차일링거 오스트리아 빈대 교수도 양자전송을 연구했다. 1997년 세계 최초로 광자를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한 일은 그의 최대 업적 중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 그리고 2023년 1월부터 1년 동안 상공 100km의 궤도에서 하루 12회씩 달을 공전하며 과학
기술
임무를 수행한다. 항우연을 비롯해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이 개발한 5개의 국내 탑재체로 우리나라 최초의 독자적인 달 지식을 확보하는 것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다누리가 얻어낼 ... ...
[논문탐독] 지구 속 험준한 지진파 산맥의 비밀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인합니다.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면 좋겠지만 현재의 과학
기술
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대신 인류는 지진파 관측이라는 멋진 대안을 찾았습니다. 지진파로 관측해보니 지구의 맨틀에는 지구의 표면보다 훨씬 변화 무쌍한 내부 구조가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어떻게, 왜 ... ...
[융복합 파트너@DGIST] 퀘스터, 미션 깨는 가상 실험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실험하는 감각(촉감)을 느낄 수 있는 햅틱
기술
을 활용해 만들어졌다. 이 중 햅틱
기술
은 가상 실험을 하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고려해 채택됐다. 감각 정보가 늘어날수록 학습 효과가 향상된다. 눈으로 보며 외우는 것보다 손으로 쓰면서 외울 때 더 공부가 잘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존의 가상 ...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동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건설환경공학부 김진구 교수는 “경제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네옴시티 실현이
기술
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지 않다”라며, “네옴시티의 성공 여부보다 미래 스마트 시티의 청사진을 보여준 것”에 더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미래에는 가능할 거예요. 솔리라스 연구원들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전기를 전송하는
기술
을 검증하기 위해 2022년 9월 독일에서 2kW(킬로와트)의 전기를 무선으로 30m 거리만큼 전송하는 데 성공했어요. 솔라리스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죠. 또, 과거에는 인공위성을 우주 공간에 올려놓는 일에 비용이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