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뽑은 차세대 전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날아가면서 생기는 저항을 줄여 주는 특징이 있다.유로파이터 타이푼날개가 동체 가장
밑
에 있고, 삼각형이다. 날개가 동체 아랫부분에 연결돼 있으면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것처럼 움직임이 자유로워 장점이 된다. 또 날개가 삼각형이면 날개가 동체와 연결된 면적이 넓어서 튼튼하다. 오랫동안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만큼 해양탐사 할 곳이 많아요. 오랜 시간 배를 타야해서 다소 힘들긴 하지만, 바다
밑
에 묻혀있는 유물을 찾는 일은 소중한 의미가 있답니다." 이방희 (한국문물연구원 수중문화재 조사팀장)침몰한 타이타닉 찾아 낸 과학탐사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의 해양지질학자 밥 발라드 박사는 1985년 강력한 ... ...
명예기자, 물의 행성을 탐험하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칠레 해안가에 사는 훔볼트펭귄과 아주 비슷하게 생겼지만 나는 훔볼트펭귄과 달리 턱
밑
에 연한 분홍색 줄이 없어서 그걸로 구별할 수 있어. 앵무조개앵무조개는 3억 5000만 년 전인 고생대부터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는 생물로, ‘살아있는 화석’이라고도 부른다. 사는 곳은 빛이 잘 들지 않는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숨은 게도 잡을 수 있지. 어떤 간 큰 게는 천문대가 있는 학교 안으로 들어와 적당한 돌
밑
에서 지내기도 하더라고.섬이라서 색다른 사량도천문대가 궁금한 친구들은 7월 중순부터 열리는 다양한 캠프 프로그램을 참고하렴. 무더운 여름에도 별이 빛나는사량도의 밤하늘은 무척 시원하고 멋질 거야 ... ...
우리 선생님은 만화가! 옥상헌선생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제 꿈은 만화가가 되는 거였어요. 그래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대학에 가지 않고 만화가
밑
에서 배우는 ‘문하생’ 생활을 시작했지요. 열심히 노력했고, 출판사와 만화책을 내기로 약속도 했어요. 하지만 군대를 다녀와 보니 출판사는 사정이 어려워져서 만화책을 낼 수 없게 됐어요. 그래서 저는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반년 동안 가르쳐도 다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를 황제는 한 달 만에 깨우쳤어. 난 이제
밑
바닥이 드러날까 봐 못 가르치겠어!”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강희제는 유클리드 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라틴어까지 배우는 열정을 발휘했다. 이미 선교사 마테오리치가 중국어로 번역한 책이 ... ...
제9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 산호가 꽃 속에서 춤을 추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초등부)갖고 놀던 장난감에서 오래된 나사가 튕겨나가고 나사
밑
에 있던 용수철이 툭 튀어나온 것만 같다. 강아지풀 줄기를 잘라서 표본을 만들었는데 줄기 단면이 얇게 잘려 말려 올라갔다.암흑 속 영롱한 보석김학현 | 바이오과학상(일반부)감자의 전분 입자에 빛을 강하게 ... ...
베토벤도 깜짝! 음악에서 찾은 기하학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길이는 진동수와 반비례한다.단진자가 2개인 하모노그래프 장치의 구조❶ 책상 구멍
밑
으로 서로 수직이 되도록 움직이는 두 개의 단진자를 설치한다. 그 중 하나는 가능한 낮은 지점에 추를 단다. 다른 하나는 어떤 음을 표현하고 싶으냐에 따라 원하는 비율을 갖도록 길이를 조정해 단다.❷ 책상 ... ...
3D로 보는 인체의 비밀 ➋ - 남녀의 골반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비뇨와 생식 기관이다. 신장(콩팥)은 의외로 골반이나 배가 아니라 열두 번째 갈비뼈
밑
에 들어가 있다. 난자를 만드는 난소는 골반 안쪽 깊은 곳에 있다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70년대에 제방을 쌓고 매립을 해서 농지로 만들었어요. 그 전에는 야트막한 산
밑
으로 재두루미가 매년 2000마리쯤 날아왔어요. 하지만 농지로 바뀌자 찾아오지 않게 됐어요.”재두루미는 80년대 초반까지도 많이 찾아와 국제적으로도 유명했다. 하지만 점차 줄어 지금은 북상 중에 잠시 들르는 정도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