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d라이브러리
"
상
"(으)로 총 2,3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그중 하나의 정보만 달라져도 감각통합의 결과는 확연히 달라질 수 있죠. 이그노벨
상
수
상
자들까지 매료시킨 우리 뇌의 신비, 정말 흥미롭죠?도전! 감각통합 실험뇌에서 매순간 감각 통합이 일어나지만 이것을 직접 느끼긴 어렵죠? 그래서 간단한 실험 3가지를 준비했어요. 여러분의 감각이 얼마나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가려움을 해소한 헬름첸 교수의 실험도 마찬가지랍니다. 오른팔이 긁히는 촉각을 느끼는
상
황에서 오른팔을 볼 때와 왼팔을 볼 때의 감각통합 결과가 달라져요. 만약 오른팔을 보면서 오른팔이 긁히는 촉각을 느꼈다면 오른팔의 가려움만 해소됐을 거예요.하지만 실험에서는 왼팔을 보기 때문에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
상
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어쩌면 어과동 친구들 중 뛰어난 코딩 능력을 이용해 노벨
상
을 타는 멋진 과학자가 등장할지도 모르지요. 그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기다릴게요 ... ...
[창간 12주년 인터뷰] 리틀 뉴턴 이끄는 열혈 과학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대
상
을 받았어요. 그 덕분에 여름방학에는 아이들과 함께 중국
상
해로 4박 5일 간 연수도 다녀왔답니다. 제가 학교에 부임해 처음 한 일이 바로 구독 신청이었어요. 과학 잡지는 소재가 다양해서 좋아요. 작년에는 학생들과 함께 어과동을 읽고, 기사 다시 쓰기를 해 봤어요.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수기자를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어려운지 알게 됐어요. 그런데 경험을 글로 정리하니 머릿속에 오래 남더라고요. 이렇게
상
도 받게 되어 뿌듯하답니다.Q. 앞으로 더 취재해 보고 싶은 내용이 있나요?방학 기간에 국립과천과학관의 ‘내 폰 안의 과학’프로그램에서 앱을 만들었어요. 기자단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앱 개발자를 ... ...
Part 2.
상
괭이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돌고래처럼 앞으로 찾아보기 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고 해요. 2005년 3만 6000여 마리였던
상
괭이가 2011년 조사에서 약 70% 가까이 줄어든 걸로 나타났기 때문이랍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한답니다.홀로그램 영
상
을 투명한 막에 쏘아 비추면 아무 것도 없는 허공에 물체의
상
을 만들 수 있어요. 실험에서는 OHP 필름으로 만든 기울어진 면이 투명한 막 역할을 해요. 그래서 피라미드 안쪽 공간에 마치 섭섭박사님이 둥둥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거랍니다. 착시로 만든 공중부양이지요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퍼져나가는걸 말해요. 이때 두 개의 파동이 같은 높이와 주기로 움직인다면, 이 둘의 위
상
이 같다고 표현한답니다.‘공전(公轉)’은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둘레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도는 것을 말해요. ‘공평할 공(公)’과 ‘구를 전(轉)’이 합쳐져,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둥글게 돈다는 ... ...
[Editor’s note] 수학과 함께 연말을 보내요~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바꿔 놓을 미래 세계를 엿볼 수 있고, 올 한해의 수학계 이슈를 정리해 저희 나름대로
상
을 정해보기도 했습니다.아쉬움을 안고 몇몇 연재기사는 올해로 막을 내립니다. 내년에는 새로운 연재기사와 함께 더욱 재미있는 내용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백두산 심부를 통과하는 지진파의 속도가 유난히 느리다는 사실에 착안해, 백두산 밑
상
부 맨틀에 거대한 열구조대(마그마 방)의 존재를 알아냈다. 그리고 이것이 태평양판의 탈수작용으로 생겼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 논란 하지만 백두산에서 검출된 미량원소가 섭입대 조성과 별다른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