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람은 기낭이 없는 대신 호흡을 더 정교하게 제어해 복잡한 소리를 낸다.호흡의 길이를 제어하는 능력도 사람이 더 뛰어나다. 사람은 오로지 날숨에서만 말을 한다. 평소에는 들숨과 날숨의 길이가 비슷하지만, 말을 할 때는 들숨이 짧아지고 날숨이 평소의 7배 정도로 길어진다. 다른 영장류는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개 분야로 나누어진다. 개별 분야가 개성이 강하지만 모두 전기전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제어는 로보틱스와 관련된다. 전기와 컴퓨터도 또다른 분야다. 네트워크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넓게 지식을 섭렵하면 좋은 게 많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이렇게 다양한 전공 분야지만 한사람이 다양한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 만약 어떤 기업이 태블릿 PC를 내놓으면서 항균(세균, 특히 인체에 해로운 세균을 제어하는 기술) 기능을 넣었다고 해보자. 정말 효과가 있는지, 어떤 미생물에게 특히 효과가 좋은지, 시간에 따른 변화는 있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만약 일일이 미생물을 분석하다가는 제품을 영영 출시하지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택했다. 미생물의 생명현상과 화학적 처리는 물론, 이런 과정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공학기술까지 함께 배우는 융합 학문이다.리하이 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베슬리헴(Bethlehem) 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센터장의 유학 시절엔 이 대학에서 한국인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쓸쓸한 환경이다 보니 할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우주복 안에서 사람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산소를 공급하거나 온도를 제어합니다. 생명유지시스템과 연결된 우주복은 외부 환경과 내부환경을 완벽하게 분리합니다. 그러면서도 신체 관절을 쉽게 움직일 수 있지요. 식수를 공급하거나 노폐물을 모으는 것도 우주복의 역할입니다. 바깥은 ...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떨어지게 하는 정도의 정확도와 같다. 엔진의 추력만큼 중요한 기술이 바로 방향을 제어하는 항법기술이다.지구와 소통 위한 통신기술탐사선이 달에 무사히 도착하더라도 안정적인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달에서 수집한 정보를 지구에서 받을 수 없다. 달은 지구까지 거리가 멀 뿐 아니라 태양 ... ...
- ‘뱃속의 거지’ 알고 보니 장내 미생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결과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속속 소개됐다. 또 음식을 조절해 장내 미생물을 제어하면 비만과 그에 따른 증세를 고칠 가능성도 제기돼, 비만 치료에 새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아르후스대 보건학부의 올루프 페더슨 덴마크 교수팀은 체중이 정상인 123명의 덴마크인과 비만인 169명을 ... ...
- 재미있는 전공탐험 - 원자로를 컴퓨터에 넣고 연구하는 전산로 물리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또 원자로의 여러 가지 발생 가능한 사고를 예측해서 각각의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제어장치들을 원자로 시뮬레이터와 계산을 통해 해석해내 이를 원자로 설계 과정에 적용합니다.어떤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가? ‘수치 원자로 개발’이라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수치 원자로는 ‘전산로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해독해, 도노휴 교수 연구팀보다 두가지의 움직임이 더 가능한 7-자유도의 로봇팔을 제어하기도 했다. 커피를 집어 올리고, 옆 사람과 하이파이브를 하거나 초콜릿을 집어 먹는 동작을 선보였는데, 로봇팔의 움직임이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보는 사람마다 경탄했다.영화 ‘퍼시픽림’에서는 두뇌 ... ...
- “MS와 IBM도 우리의 후발주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졸업생들의 넓은 활동 범위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력시스템, 무선통신, 공정제어, 소프트웨어 등등 전기·정보공학부와 관련이 없는 것을 찾는 일이 더 힘들 지경이다. 그래서 학부에 들어온 학생이 4년 동안 해야 할 일은 자신과 잘 맞는 분야를 찾는 것. 학부 과정은 다양한 경험을 주지만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