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지"(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연속체 가설을 무찌르기 위한 수학자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끝내 증명을 하지 못했습니다. 이후 연구는 계속됐지만,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지요. 하지만 연속체 가설이 거짓이라고 주장했던 휴 우딘이 10년 전부터 ‘L-공리’의 조건 아래에서는 연속체 가설이 참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인 L로도 불리는 L-공리는 괴델이 연속체 가설이 거짓임을 밝힐 ... ...
- [똥손 수학체험실] 도전! 나도 오늘은 예술가, 도마뱀 테셀레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생기지 않게 늘어 놓아 평면을 덮는 거예요. 우리나라 말로는 ‘쪽매맞춤’이라고 하지요. 벽지나 벌집 모양 등이 일상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테셀레이션의 사례예요.에셔는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도형을 연구했어요. 공부하다 모르는 것이 있으면 수학자에게 물어보기도 했지요.2020년 ... ...
- [특집] 무한의 비밀을 밝혀라!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세계를 누구보다 가장 오래 살펴봤고, 잘 알고 있어서 자칭 무한 세계의 최고 수학자라고 하지요. 그런데 이런 내가 무한 세계를 휘어잡지 못하게 막는 악당이 하나 있소. 그 녀석만 해치우면 무한 세계의 비밀을 모두 풀 수 있을 것 같은데, 나와 함께 그 악당을 물리치러 가지 않겠소? ▼ 이어지는 ... ...
- [인터뷰] “수학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리라”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정말 싫어해요. 좋아하는 수학마저도 반복적인 문제 풀이는 참지 못할 정도로 힘들어하지요. 그런데 소설 작업에도 그런 일이 있어요. 그 부분을 AI에게 맡기고 싶었어요. Q. 이번 책으로 독자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으신가요. A. ‘수학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라는 말이요. 인간이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바키타들에게 꼼짝없이 당했습니다. 시끄러운 소리를 듣자마자 본능적으로 이곳이 안전하지 못하다는 걸 깨달은 저만이 어두운 숲속으로 피신해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숲에서 보았습니다. 몇 안 되는 바키타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숲속의 인간들을요. 그 모습은 무기를 가진 ... ...
- [통합과학 교과서] 눈 따끔, 목 칼칼! 신데렐라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독성이 없는데다 냉매● 특성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꿈의 화학물질’로 불려왔어요. 하지만 CFC가 오존층을 파괴하고, 이로 인해 인간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CFC에 대한 인식이 바뀌기 시작했어요. 1985년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비엔나 조약’이 채택되었고, 이어 1989년에는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분석해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만들기도 하고, 환경 정책 변화와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도 하지요. 이러한 디지털 협업은 디지털 시민에게 더욱 중요하고 필수적인 작업방식이 될 거예요. 필자소개이진석 (부산 명덕초 교사)부산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를 다수 집필하였다. ... ...
- [그래프 뉴스] 가상현실(VR)로 주사의 아픔은 안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가상현실(VR) 게임을 이용하면 병원에서 주사를 맞을 때 아픔과 불안을 덜 느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로스앤젤레스 아동 ... 때 아프고 불안했다는 의미예요. 가상현실 게임을 하면서 주사를 맞은 환자는 게임을 하지 않고 주사를 맞은 환자보다 아픔과 불안을 덜 느꼈어요 ... ...
- [특집] 피타고라스의 정리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재밌는 성질을 공식으로 나타낸 거예요. 한 각이 직각(90°)인 삼각형을 직각삼각형이라 하지요. 직각삼각형을 이루는 세 변 중에 직각과 마주보는 비스듬한 변을 특별히 ‘빗변’이라고 불러요. 그런데 두 변과 빗변 사이에 신기한 법칙이 있어요. 바로 (밑변의 길이×밑변의 길이)+(높이×높이)= ... ...
- [게임디자인 씽킹] 캐릭터를 돋보이게! 명도 차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나타내야 하는 부분은 배경과 대비되는 명도의 색을 사용해 존재감이 분명히 드러나게 하지요. 게임의 구성 요소들의 명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게임의 콘셉트와 분위기도 달라집니다. 배경을 고명도로 밝게 통일하면 부드럽고 경쾌한 느낌이 들고, 저명도로 어둡게 통일하면 강하고 무겁게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