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3교시]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14.6%나 적은 경기 일정을 찾아낼 수 있었답니다. 마지막 시험 문제를 풀어 마법학교에 입학하세요! 일본 연구팀의 연구를 참고해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봅시다. 다음은 4개의 팀을 원정과 홈 경기를 구분해 맞붙는 팀 조합을 점으로 찍은 것입니다. 빨간색은 홈 팀, 검은색은 원정 팀이에요. 같은 ... ...
- [인터뷰] “해리포터 같은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2년 09호
- 3살 때 처음 자폐 진단을 받았는데 그땐 말을 거의 못 하고 울거나 소리를 지르기만 했죠. 학교에서도 친구들과 어울리는 게 어려웠고요. 사람들은 자폐인이 사람을 싫어한다고 생각하지만, 아니에요. 친구를 사귀고 싶지만 사귈 수 없어서 힘들었어요.그러다 9살 때 부모님이 저에게 자폐에 대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10년 만에 사라진 ‘게임 셧다운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필자소개 김지훈(부산 창진초 교사)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많아서 수학자로 성장하기 좋을 거다”라면서 미시간대로 옮길 것을 제안했어요. 그래서 학교를 옮겼습니다. 사실 2009년에 미시간대 박사과정에 지원했었는데 떨어졌거든요. 이 사실을 이야기하니까 포민 교수가 “내가 너를 떨어뜨렸을 리가 없다. 나는 글 쓰는 것만 봐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시간은 언제 있나 싶은데, 그렇게 가족과 있는 시간에는 온전히 가족에 집중하고, 아들이 학교 간 사이에 공부하고, 또 새벽에 혼자 일어나 공부합니다. 예전에 허 교수가 자신의 전성기는 막내를 대학에 보낸 뒤에야 올 거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로서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통해 조합론의 문제를 해결하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입니다. 조합론이란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오는 ‘경우의 수’를 통해 익숙한 분야입니다. 예를 들면 ‘쾨니히스베르크의 일곱 개의 다리를 모두 건너는데 어떤 다리도 두 번 건너지 않게 할 수 있는가’ 등의 문제처럼 주어진 조건을 ... ...
- 통계로 보는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08호
- 1936년 처음 생긴 필즈상은 올해까지 총 64명의 수학자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어요. 수상자들의 출신 학교, 국적, 연구 분야 등 핵심 정보 ... 20명 정도 초대됩니다. 독일의 대표 수학자이자 2018 필즈상 수상자인 페터 숄체 독일 본대학교 교수는 2014년 초청강연을, 2018년에 기조강연을 했습니다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연구 분야 : 편미분방정식, 유체역학수상 : 퍼트남 콩쿠르 입상(2010),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자코버스 펠로우십(2017), 포스코사이언스펠로(2019) 정인지 교수는 물이나 기름처럼 밀도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는 비압축성 유체에 관한 오일러 방정식을 연구합니다. ‘오일러 방정식’은 100만 ...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알지 못했던 걸 아쉬워하는 장문의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존 프리드랜더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는 2014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장 교수의 롤프 쇼크상 기념 강연에서 ‘와우(Wow)’를 외치며 장 교수의 증명에 대해 놀라워 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이처럼 장 교수의 증명은 경이로운 것이었습니다 ...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교수, 코이코일로포일로스 교수, 그리고 막심 라지윌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교수가 있습니다. 뛰어난 동료 수학자들과의 연구 교류가 그의 훌륭한 업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수학계에서도 이러한 연구 환경이 주어지고 연구 교류가 더욱 활발히 이뤄지길 기원합니다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