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764건 검색되었습니다.
21대 대선…생채기와 숙제 남은 과학은 어디로
2025.05.31
단백질 구조 예측의 정확도를 높인 '알파폴드'를 개발한 공로로 2024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딥마인드는 AI로 생명과학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Nobel Prize Outreach/Anna Svanb 제공 ● '강 대 약'의 싸움 AI, '3대 강국'은 타당한 목표인가? '긍정적 - AI 기술 전반에 관한 투자와 개발을 ... ...
공룡 단백질이 암 연구 열쇠?…6600만년 전 연조직에서 단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걸리기 쉬운 요인)에 영향을 준 생물학적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가능진 것이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저스틴 스테빙 앵글리아 러스킨대학교 교수는 “공룡처럼 크고 수명이 긴 생물은 오랜 세월 동안 암에 어떻게 대응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DNA보다 ... ...
[사이언스게시판] 극지연, KBSI와 연구 협력 워크숍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KBSI 수도권센터가 극지연구소가 위치한 송도로 이전하는 것으로 계기로 양 기관 간
공동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장기적인 협력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 한국전기연구원(전기연)이 29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2025년도 KERI 재사용 배터리 기술동향과 안전 활용방안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 ...
소재 간격 '밀당'으로 화재위험 적은 전고체 배터리 수명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데 성공했다. 포스텍은 박수진 화학과 교수팀과 이용민 연세대 배터리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전고체배터리 음극 소재를 개선해 배터리 수명을 늘린린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공개했다. 현재 전기차 등에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내부 ... ...
KAIST 명현 교수팀, 'IEEE 국제로봇 및 자동화 학술대회 NSS 챌린지'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리히텐슈타인 건설회사 힐티(HILTI)사와 미국 스탠퍼드대 그래디언트 스페이스 그룹이
공동
주최한다. 2021년도부터 개최되던 ‘힐티 SLAM 챌린지’가 확장된 챌린지다. 로봇이나 드론, 자율주행차 등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 환경의 지도를 동시에 생성하는 기술을 겨룬다. 이번 챌린지는 ... ...
[과기원NOW] 포스텍, 홍합’에서 영감 받은 주사형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줄기세포 치료제의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경북대학교와
공동
연구팀이 홍합의 접착 원리를 응용한 주사형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해 손상된 뼈를 효과적으로 재생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줄기세포를 홍합 유래 접착물질로 감싸 주사 형태로 ... ...
짙은 안개 속에서도 뚜렷하게 본다…초저잡음·고감도 '광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KIST)은 박민철 양자기술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고려대, 동국대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근적외선(NIR) 영역에서 초저잡음·고감도로 작동하는 유기 광검출기(OPD)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제 안개와 연기 환경을 실험실에서 구현해 광센서의 성능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 ...
타이타늄 3D 프린팅 속도 2배 'SLM 공정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김건희 기능성소재부품그룹 수석연구원과 이호년 신산업부품화연구부문 수석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타이타늄 소재를 고속으로 적층하면서도 강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공정기술을 새롭게 구현했다고 29일 밝혔다. SLM은 금속 분말에 고출력 레이저를 조사해 층층이 ... ...
'미세방울 유전자치료'로 슈퍼박테리아 무력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KAIST는 정현정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공현준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이 형성한 바이오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미세방울 기반 나노-유전자 전달 플랫폼(BTN-MB)’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MRSA는 병원 내 감염의 대표적 ... ...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 "양자 전문가 그룹 제대로 꾸려야 옥석 가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양자센서, 나노물질, 뇌과학 등을 연구한다. 지난해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공동
연구를 통해 도심의 상용 광통신망을 활용한 양자 정보 전송을 처음으로 성공하기도 했다. 양자과학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는 평가다. 그는 "인공지능(AI)도 2021년 챗GPT로 주목받긴 했지만 1970년대에 처음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