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시간 뇌 혈류 측정기술 나왔다..."운동 중에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또 다른 뇌 혈류 측정 방법으로는 '간섭계 근적외선 분광법(iNIRS)'이 있다. 650~10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파장의 근적외선을 이용해 분석한다. 움직이는 상태에서 측정이 가능하지만 뇌 혈류 반응이 나타나기까지 1초 가량 소요돼 혈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 ...
느티나무·산철쭉·소나무·편백 등 미세먼지 흡착능력 뛰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흡착능을 포함해 수목의 환경조절기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곳이다. 10마이크로
미터
(㎛)보다 작은 미세먼지 ‘PM10’과 실험 대상 나무를 챔버 안에 넣고 잎파리 표면에 흡착된 양을 따졌다. 이번 목록에는 총 314 수종이 포함됐다. 국내 존재하는 수종 대부분을 평가한 것이다. 우수 59수종, 양호 17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반도체 소재 고성능화 이뤄낸 김윤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반도체 소재가 메모리를 정확하게 읽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하프늄옥사이드는 나노
미터
수준의 얇은 막에서도 우수한 강유전성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성질로 메모리, 트랜지스터 등 기존 산화물을 대체할 차세대 소재로 꼽힌다. 문제는 하프늄옥사이드의 강유전성 발현 원인이 ... ...
붙이기만 하면 손동작으로 글자 입력...'지능형 전자피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도성 액체를 직접 피부에 분사한 후 나노
미터
단위의 전도성 그물망을 손에 자동으로 인쇄하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했다. 연구팀이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한 전자피부를 활용해 가상공간에서 작업 수행이 가능해졌다. 연구팀은 우선 손 위의 전도성 ... ...
종이접기 하듯 DNA 접어 버섯·클로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원뿔, 조롱박 등 다양한 형태의 DNA 구조물을 만들어냈다. 이 구조물들은 약 13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았다. 대니얼 푸 듀크대 박사과정생은 "(뉴클레오티드의 개수가) 너무 적거나 잘못된 위치에 있으면 구조가 올바르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전에는 DNA의 ... ...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1/10로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활용되려면 입자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1 ㎛(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분의 1m) 수준으로 매우 작아야 한다. 기존에는 소량의 고체전해질 분말 등을 무극성 용매와 함께 용기에 넣고 고속으로 장시간 회전시켜 입도를 작게 만드는 ‘습식 볼 밀링 방식이 활용됐지만 이온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 웨이퍼 절단 없는 두께 분석장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이 현미경은 1㎛(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분의 1m) 급 단층 박막-공동 구조를 1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미만 편차로 측정이 가능했다. 이 교수는 "안전하고 정밀한 장점 때문에 반도체 소재 및 소자 검사 속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 ...
햇빛 흡수해 안경 김 서림 방지하는 코팅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극소량이 사용된다”며 “재료 비용이 낮게 유지된다”고 말했다. 전체 두께는 10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코팅제를 안경과 자동차 앞유리 외에 창문이나 거물, 광학 센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은 “여름엔 자동차나 건물이 뜨거워지는 것도 막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예상대로 전자에서는 젬시타빈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배양액에 있는 0.45마이크로
미터
보다 큰 뭔가가 젬시타빈을 파괴한 것이다. 분석 결과 그 실체는 마이코플라스마 하이오라이니스라는 박테리아였다. 이 녀석이 지니고 있는 CDD라는 효소가 젬시타빈을 다른 분자로 바꾼 것이다. 추가 연구 ... ...
커피 찌꺼기로 반도체 폐수 깨끗하게
동아사이언스
l
2022.12.04
기술을 이용해 필터로 만들었다. 전기방사는 용액에 고전압을 걸어 수백 나노
미터
굵기의 실을 방사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매우 촘촘한 형태의 필터”라며 “이 기술은 커피 찌꺼기 수거 후 세척이나 불순물 제거 같은 별도의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다”고 강조했다. 필터로 반도체 폐수 속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