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ilicon
실리콘밸리
밸리
합성수지
규소수지
규소
silicone
뉴스
"
실리콘
"(으)로 총 751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오염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바로 의약품 재료로 재탄생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5
구조체를 만든 뒤 그 위에 촉매를 고정했다. 기름과 물을 강하게 분리시키는
실리콘
나노선의 특성 때문에 비교적 친수성(親水性)인 이산화탄소는 구조체의 아래쪽 틈새로, 친유성(親油性)인 아민계열 액체 물질은 위쪽으로 서로 분리돼 흘러가게 된다. 기체와 액체가 맞닿은 계면에서 생긴 흐름 ... ...
“육아 마치고 돌아온 과학자에겐 연구비를 줍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여성과학자를 성장시키는 구조적인 계획이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실리콘
같은 광물이 아니라 탄소를 포함한 ‘유기반도체’를 연구하고 있다. 유기반도체는 모양을 자유롭게 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반도체를 잉크처럼 만들어서 종이에 프린트할 수도 있고, 휘어지는 장비에 ... ...
몸안에 이식해도 염증 염려 대폭 줄인 신경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6
질환 치료를 위해 이식형 신경 전극을 삽입하는 치료 방법이 많이 쓰인다. 기존 재료는
실리콘
이나 고분자 필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물, 산소 등의 물질이 거의 투과되지 않아 신경에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힘들었다. 또 신경 조직에 비해 단단하기 때문에 주변 신경에 ... ...
우리집 실내 공기는 안전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14
걸러내지 못하니 환기만이 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바닥이나 벽에 벌어진 틈새를
실리콘
등으로 잘 막으면 토양으로부터 들어오는 라돈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연세대학교 환경보건센터 조승연 교수는 "라돈 수치가 높은 집의 경우 장시간 라돈에 노출되면 어린이와 여성이 특히 더 위험하다 ... ...
알츠하이머병 등 뇌질환, 실험실서 손쉽게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3
배열 방향을 정렬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먼저 뉴런을 젤리 같은 콜라겐에 섞어
실리콘
수지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만든 틀에 붓는다. 양쪽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누르거나 바깥 방향으로 당겼다가 놓는다. 이때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콜라겐 속 뉴런은 한쪽 방향으로 정렬된다 ... ...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감’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02.09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표면의 나노구조를 개선해 측정 민감도를 높였다. 이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바이오센서를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민감도와 신뢰성”이라며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면역분석에 즉시 사용할 ... ...
농사 짓고 남은 벼 껍질로
실리콘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2
대량 생산 규모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였다. 연구진은 현재 연간 3t의 왕겨로
실리콘
을 생산할 수 있는 대량 생산 공정의 기본 설계를 마친 상태다. 서 연구원은 “기업으로의 기술 이전과 후속 연구를 통해 기술을 실증할 계획”이라며 “음극재 시장의 판도를 뒤집을 수 있는 원천 기술을 ... ...
비누로, 종이로 만든 반도체도 등장… ‘특수 반도체’ 개발 열풍
동아사이언스
l
2017.01.11
이 결과 회로 선폭이 넓게 설계된 종류, 기본 소자를 흔히 쓰는
실리콘
(Si)이 아닌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만든 종류가 방사선에 훨씬 더 강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가장 방사선에 강한 소재와 부품만을 모아 원전용 전자기판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정경민 원자력연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300㎞ 달리게 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0
반복해도 성능 감소가 19%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레니움이 형성한 보호막이
실리콘
나노입자의 팽창도 막아 주기 때문이다. 즉, 하루에 1회 충전할 경우 4년 동안 사용해도 성능에는 큰 지장이 없다는 뜻이다. 엄 교수는 “휴대전화 배터리로 사용할 경우, 현재 수준과 같은 용량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억 개가 배치돼야 하는 반도체 칩은 다른 차원의 얘기다. 따라서 집적도는 높지 않지만
실리콘
반도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특수한 분야에 한해 개발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즉 정교한 구조가 개입되는 하이테크(high tech) 쪽은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반면 탄소나노튜브가 첨가제로 쓰여 소재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