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뉴스
"
칼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위험? 전문가 “한국선 적용 어려워”
동아닷컴
l
2014.10.30
등을 낮추기 위해 우유를 하루 석잔 정도 마실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칼
미카엘슨 교수는 "우유에 함유된 갈락토오스가 오히려 산화스트레스와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산화스트레스는 인체에 유해한 활성산소 양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으로 세포 노화를 ... ...
“
칼
에 찔려 하반신 마비, 수술후 다시 걸어”…혁신적 치료법은?
동아일보
l
2014.10.21
몇 년 동안 폴란드와 영국에 있는 10명의 환자를 치료하고자 한다. 타바코프 박사는 "
칼
로 척수가 완전히 절단된 환자가 치료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세포 이식'에 실렸으며, 영국 BBC는 이날 피디카 씨의 재활 과정을 담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최현정기자 phoebe@donga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1957년 아내 거티가 세상을 떠난 뒤 남편
칼
은 여생동안 무척 힘들어했다고 한다.
칼
코리는 1984년 사망했다. 194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수상한 코리 부부. 1896년 생 동갑으로 모국인 체코에서부터 함께 연구를 해 미국에 건너와 꽃을 피웠다. - 노벨재단 제공 이 밖에도 노벨상을 받은 부부가 한 ... ...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주장은 1920, 30년대 진행됐던 일부 실험에서 비롯됐다. 당시 미국의 신경학자였던
칼
래슐리 박사는 쥐의 뇌를 상당 부분 제거한 뒤에도 쥐가 특정 기능을 학습하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여러 차례 발표했다. 이후 사람도 뇌의 일부만 사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이 주장이 사실처럼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플레이아데스 성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연구 결과들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칼
멜리스 미국 UC샌디에이고 천문학과 교수는 전파망원경 연결망을 만들어서 지구와 플레이아데스 성단 사이의 거리에 대한 논란을 해결했다. 연구팀은 미국과 독일, 푸에르토리코, 버진아일랜드 등에 퍼져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역사는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분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린네는 1740년대 좁은잎해란초(Linaria vulgaris)라는 식물 견본을 조사하다 이상한 개체를 발견했다. 다른 부분은 똑 같은데 유독 꽃 모양만 달랐던 것. 꽃 구조를 식물 분류의 기준으로 삼았던 린네로서는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최악의 상황은 지나간 것 같았다. 킨샤사에서 사실상 조사단을 이끌고 있는 CDC의
칼
존슨은 괴질의 매개체(reservoir)를 찾는 일과 진단법을 찾는 일, 얌부쿠(자이르)와 마리디(수단)의 관계를 규명하는 게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즉각 조치를 취했다. 벨기에에서 킨샤사로 급파된 반 데르 그뢴은 ... ...
‘아르키메데스의 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8.01
수학 역동적인 움직임과 우아한 동작이 수학을 만나 ‘수학댄스(MathDance)’가 된다.
칼
샤퍼 미국 데안자대 수학과 교수와 웨버주립대 무용 강사인 에릭 스턴은 수의 대칭성과 연속성을 춤으로 푸는 유쾌한 공연 ‘발견의 징조(The Signs of Discovery)’를 콘퍼런스 기간 중 선보일 예정이다. ... ...
흑돌·백돌이 저절로 분류되는 신기한 바둑판
과학동아
l
2014.07.24
때 고무장갑에 수세미를 붙인 발명품을 만들었고, 4학년 때는 문구용
칼
에 자석을 붙여
칼
날을 부러뜨릴 때 날이 튀지 않도록 해 교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전국학생과학발명품대회 출전도 이번이 두 번째다. 그는 2011년 대회 당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 문을 출품해 장려상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벼 해독 10년 만에 ‘진짜’ 밀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14.07.20
방법을 이용해 대기압의 5000만 배와 맞먹는 압력인 5테라페스
칼
(1테라파스
칼
은 1012 파스
칼
)의 기압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는 토성의 중심부에서 느낄 수 있는 수준의 압력이다. 또 연구팀은 이 압력을 이용해 지구상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인 다이아몬드를 압축시키기도 했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