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묻거나 반대로 피부가 건조한 상태가 되어도 센서가 오작동할 수 있어요. 게다가 다른 사람이 지문을 비교적 쉽게 위조할 수 있어서 영화에서처럼 범죄에 이용될 우려가 높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Part 2. [생체열쇠 -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들려. 이건 뭔가 단단한 것을 씹을 때 나는 소리야.감각기관이 보고하고 뇌는 합치고!사람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여러 감각기관을 갖고 있어요. 눈, 코, 귀, 피부 등의 감각기관 이 각각 시각, 후각, 청각, 촉각 형태의 정보를 받아 뇌로 전달하죠.이 정보들을 잘 버무리는 건 뇌의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MIT)의 승현준 교수는 2012년, 당시 인기 있던 모바일 게임 ‘앵그리버드’에 전세계 사람들이 쏟은 시간을 모두 합치면 600년이 넘는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리고는 이런 시간을 뇌 연구에 쓸 수 있다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뇌 지도를 그리는 아이와이어를 시작했답니다.아이와이어는 온라인 사이트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한 보석들이 반짝반짝 나이카 결정 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사람이 개미처럼 보일 만큼 어마어마하게 큰 광물 결정들이 꽉 차 있는 이곳은 멕시코 북부에 있는 나이카(Naica) 광산의 동굴이에요. 납과 아연, 은을 캐는 광산을 개발하다가 우연히 거대한 결정들이 있는 동굴을 발견하게 됐지요. 이곳에 있는 가장 큰 결정은 너비 1.2m에 높이가 무려 15m나 된답니다.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수는 지금까지 지구상에 태어난 사람의 수보다 많다고 하니, 나와 같은 홍채 모양을 가진 사람은 거의 만날 수 없는 거예요. 만약 경우의 수가 가장 많은 고유 정보 DNA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다면 보안이 가장 뛰어난 생체인식 기술이 될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금융은 물론 마케팅 등 아주 다양한 방면에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답니다. 사람들 많은 데 숨어 있으면 못 찾을 줄 알았는데, 어떻게 된 거지? 뭐? 저 멀리 있는 CCTV가 아까 내 얼굴을 식별한 거라고? 흠…. 똑똑한 생체 인식 기술 때문에 더 이상 도둑질을 하기는 어렵겠어. 그렇다면 나도 몸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뛰어다니더라고. 나처럼 큰 눈을 가져서 반가운 마음에 가까이 가서 살펴보니 은근히 사람이랑 닮은 점도 있지 뭐야.말을 걸어 보고 싶어서 다가갔는데, 바쁜 일이 있었는지 쏜살같이 나무 위로 올라가 버렸어. 이번에는 놓치지 말고 꼭 만나 봐야지! 안녕, 안경원숭이야! 자기소개를 부탁해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A와 B 구역의 색깔만 판단한다면 두 구역 색은 똑같아 보일 것”이라고 말했어요.하지만 사람의 뇌는 두 구역과 그 주변 색에 대한 시각 정보, 그리고 이외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해요. 그림자에 대한 경험, 그리고 원통의 그림자 때문에 B의 색이 어두워졌을 것이라는 판단이 더해지는 거죠.이와 같은 ... ...
- [현장취재] 찾아라! 하인슈타인 GO!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움직임을 분석하거나, 자동차가 충돌했을 때 찌그러지는 모양을 정밀하게 분석해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설계하는 일에 쓰이고 있었지요.이번 중국 탐방에서는 증강현실에서 캐릭터를 찾아내는 ‘포켓몬 고’처럼 곳곳에서 새로운 IT기술을 찾을 수 있었어요. 탐험대원들은 이 과정에서 엄청나게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는 땅은 아주 조금씩 움직이고 있어요.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인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지구가 움직이지 않는 딱딱한 고체라고 믿었죠. 그런데 1912년 알프레드 베게너가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대륙 등 지구의 커다란 대륙들을 마치 퍼즐 조각처럼 하나로 맞출 수 있다는 사실을 ... ...
이전5475485495505515525535545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