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문이다. 구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정확한 양으로 뿌릴 수 있는
기술
이 필요하다. 현재 쓰는 구름 입자 생성기는 실험실 수준이지만 지구공학에 사용하려면 규모가 더 커져야 한다.미국 기상연구대학연합의 존 라뎀 박사는 2008년 영국 왕립학회에서 발간하는 ‘철학회보’에서 ... ...
첨단
기술
핵심 소재, 희토류가 부족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 세계 국가들이 첨단전자제품과 녹색
기술
제품의 핵심원료인 희토류 부족으로 고심에 빠졌다. 2010년 세계 희토류 사용량의 97%를 생산하는 중국이 수출량의 9.7%를 줄였기 때문이다. 중국은 희토류 생산의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감도가 좋다”고 레노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광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은 순수 국내
기술
로 개발했다는 점도 특징이다.레노가 변환상수를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레노의 감도로는 변환상수가 2% 이상일 때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승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이론적으로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한국인 맞춤 의학’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연세프로테옴연구원은 질량 분석
기술
을 이용해 다른 분야에서도 성과를 올리고 있다. 지난 2005년에는 실험용 미생물인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연장하는 페로몬인 ‘다우몬’을 발견해 화제가 됐다.연구진이 다우몬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다.한 박사는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
을 응용해 떡의 세계화를 이루고자 한다. 떡이 굳지 않으면 유통기한이 늘어나 어디로든 수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특히 쌀과 물을 넣고 버튼을 누르면 굳지 않는 떡을 만드는 ‘전기떡솥’을 상상한다.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로봇
기술
의 시작과 끝” 이라고까지 설명했습니다.손가락형 로봇손을 만드는
기술
은 독일이나 일본이 가장 앞서 있습니다. 독일 DLR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소가 만든 ‘디엘알-에이치아이티(DLR-HIT) 핸드’ 시리즈가 가장 정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당 2억 원 정도의 비싼 가격에 연구용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우와~,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게임기를 만들면 접을 수 있고 휘기도 하는 거야? 연료전지
기술
이 발전하면 지구 온난화도 나아지지 않을까? 화학이 할 수 있는 일은 정말 어마어마하구나! 앞으로 첨단 화학이 바꿔 놓을 생활이 기대되는 걸? 어때?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화학이 하는 일을 보니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자신뿐이라며 자부심이 대단하다. 사실 실제 덩치는 한 방을 가득 메울 만큼 크지만 과학
기술
의 발달로 본체와 떨어져 있어도 시각을 알 수 있다. 위성과 수시로 신호를 주고받기 때문이다.수정시계우아하고 섬세한 캐릭터. 지금도 많은 손목시계와 벽시계가 수정시계로 만들어졌다는 이유로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흑연이 많았다. 순수한 흑연은 부드러워 잘 부러지는 것도 문제였다. 1795년 프랑스의
기술
자 니콜라스 자크 콩테는 처음으로 흑연에 점토를 섞어 잘 부러지지 않는 연필심을 만들었다. 뒤이어 위아래의 모양이 같은 홈 사이에 연필심을 넣고 붙이는 방법도 개발됐다. 연필심이 튼튼해진 덕분에 ... ...
컴퓨터 없인 금융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노이만 방식 또는 프로그램 내장방식으로 불리는 현대식 컴퓨터가 등장해 디지털
기술
이 급속하게 발전할 수 있었죠. 현재 사용되는 컴퓨터의 99.9%가 노이만 방식이거나 이를 변형한 형태랍니다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