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단순하게 돼 있지는 않다고 보게 됐다. 고구마형 합죽이형 동안형 얼굴 모양이 얼굴
형태
를 결정하는 유전자와 그 유전자끼리의 조합에 의해 기본이 제시되는 것이라면, 오늘날 우리가 보는 한국인의 서로 다르게 생긴 모습은 서로 다른 유전자와 그 조합에 의해 생겼다는 말이다. 현대 한국인의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으면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다고 한 선입관을 뒤엎는 사실이다.면역반응은 두가지
형태
로 나타난다. 그 하나가 바이러스항원에 대하여 항체를 생산하는 길이고 또하나는 세포면역을 유도하는 길이다. 폴리오바이러스와 같이 바이러스가 세포내에서 증식한 후 세포 밖으로 유출되는 경우에는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이식실험을 통해 위 이론의 증거들을 모았다. 중앙신호체계는 발생하고 있는 뇌가 제
형태
를 갖추도록 도와준다. 이 경우에 정보를 가지고 있는 영역은 배(胚)를 구성하는 구조들 중에서 척삭(脊索)과 상판(床板)이라는 두 곳이다. 척삭은 발생하는 생물의 일시적인 골격 역할을 하는 딱딱한 막대고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연구의 방법임을 보일 목적으로 리비히와 공동연구에 착수, 이전까지 불가사의한
형태
로 남아있던 탄소화합물 연구 영역에 한가닥 밝은 빛을 비췄다.리비히와 뵐러의 공동연구에 대해 살펴보자. 이들이 재료로 택했던 것은 안식향산이다. 호두와 같이 딱딱한 열매 속에는 고편도유가 들어 있다.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똑같고 전하가 반대, 이 둘이 만나면 그 질량은 에너지로 변한다. 이 에너지는 감마선
형태
로 방출된다. 감마선이란 전하가 제로이고 에너지만을 갖는 진공상태를 의미한다. 만약 거꾸로 감마선이 입자를 생성한다면 전자와 양전자가 동시에 쌍으로 생가난다.디랙의 예언과 앤더슨의 발견이 있은 후 ... ...
CD·LD의 작동원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반사되기도 하고 흐트러지기도 하는 것이다. CD플레이어에서는 레이저 픽업에서 얻은 (d)
형태
의 디지털 신호가 D/A 컨버터에서 (d)-(c)-(b)-(a)의 역순서를 밟아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된다.한편 LD는 필립스와 MCA가 공동으로 개발한 비디오 디스크의 일종으로 1981년 파이오니어가 판매를 시작했다. LD는 CD와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모두 CD-ROM이 필요하다면 휴대가 가능한 외장형을 사서 들고다니는 것도 괜찮다.하지만
형태
는 성능을 결정하는 문제는 아니다. CD-ROM 선택의 핵심은 속도다. CD-ROM의 성능은 바로 두가지의 속도와 직접 관련돼 있다. 하나는 데이터를 드라이브가 1초당 얼마나 읽어들이느냐를 말하는 전송률(transfer rate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양친의 형질이 자손에서 혼합된다는 구태의연한 견해를 지지하였다.멘델은 개체 전체의
형태
를 대상으로 삼지 않고 특정한 단일 유정형질만을 대상으로 삼아 문제를 단순화시켰다.그는 순종인 둥근 완두에서 생긴 식물을 순종의 주름진 종자에서 자란 식물과 교배하였다. 그 결과 생긴 잡종종자(${F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종류에 따라 DNA바이러스 또는 RNA바이러스 등으로 구분하는 방법, 또 질병을 일으키는
형태
에 따라 독감바이러스, 종양바이러스 등으로 분류하는 방법 등에 의해 나누어진다.그런데 세포내에서 기생하는 것이 바이러스의 특성인 까닭에 바이러스는 분화나 엄밀한 의미에서는 진화는 하지 않는다.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들은 84%의 곤충과가 1억년 전의 중생대 백악기에 살아 있던
형태
그대로 현재에도 생존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4지 동물은 20% 밖에 생존하고 있지 않다. 백악기 최후의 절멸기에 공룡을 비롯한 4지 동물의 1/4가 절멸했지만 곤충과는 거의 영향을 받지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