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접속된 스마트폰들까지 포함하면 네트워크는 더욱 복잡해진다.분산방식의 와이파이의
큰
문제점의 하나는 ‘히든터미널’ 문제이다.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져서 분산적으로 동작하는 AP나 스마트폰들이 서로의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고 동시에 전송해 신호가 충돌하게 되는 문제를 의미한다. 한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구름에서 내리는 비(혹은 눈)도 많아진다.저기압뿐만 아니라 고기압도 눈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바다 덕분이다. 바다는 눈을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물은 비열이 높기 때문에 겨울에도 공기에 비해 쉽게 차가워지지 않아 찬 공기를 만나면 수증기를 내보낸다. 중국·러시아 대륙쪽에서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너무 다른 길이기 때문에 신중히 잘 선택해야 합니다. 학과는 나중에 원서 쓸 때 바꿔도
큰
무리가 없지만, 계열 선택은 선택에 따라 공부하는 과목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미리 결정을 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먼저 본인의 성향을 그대로 따라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적성을 ... ...
과학 책과 인문학 책 모두 읽어야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노벨 물리학상을 받기도한 당대 최고의 과학자 리처드 파인만.양자역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파인만 다이어그램’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괴짜 같은 그의 모습을 함께 볼 수 있다.당대 최고 과학자의 이야기인 만큼 전문적인 수학과 물리학 이야기도 나온다.비교적 읽기 쉽게 쓰여 있지만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비행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일까.헬리콥터와 비행기를 합쳐볼까헬리콥터의 가장
큰
장점은 아무데서나 뜨고 내릴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비행하는 동안 동력이 많이 소모된다. 위에 달린 로터를 돌리는 힘만으로 동체의 무게를 이겨내고 뜨는 힘인 양력과 전진하는 힘, 추력을 만들어야 한다 ... ...
새들을 내쫓는 베이스 소리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버드 스트라이크는 1조원이 넘는 피해를 주거나 비용을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큰
소리로 새들을 쫓아내는 시스템은 있었지만 이는 공항 주위에 사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게 문제였다. 그러나 이 회사가 개발한 장치는 새떼가 접근하는 소리를 들으면 자동으로 여러 개의 스피커를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순간, 동시에 얼어붙는다.미생물은 지구 어디에나 있다. 미생물이 붙어서 이동할 만한
큰
동물이 많지 않은 남극에서도 미생물은 워낙 그 크기와 질량이 작기 때문에 바람에 쉽게 날려오거나 에어로졸에 붙어서 올 수도 있다.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이 눈과 함께 차곡차곡 쌓이고 얼음이 만들어지면서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화재는 재난이다. 사람의 욕심 때문에, 또는 부주의 때문에 생기는 인명 피해는 더
큰
재난이다.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소방관도 항상 위험에 노출돼 있다. 다시 한번 주위를 둘러보자. 지금 당신이 있는 곳에 불이 난다면 당장 무엇부터 해야 할까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가리맛조개는 물새가 즐겨 먹는 여러 조개 중 하나뿐이라 이를 먹지 못하게 한다 해서
큰
타격을 입는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황해생태지역을 보존하고자 하는 연구가 물새와 어민들 사이의 화해를 주선한 것이다.황해를 공유한 우리나라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우리나라 정부는 2001년 전남 ... ...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한 요소들을 종횡무진 누빈다. 친숙한 좁은 장소에서
큰
우주로, 중력이 작은 천체에서
큰
블랙홀로, 빠른 공간에서 느린 세계로 시간과 공간이 줄었다 늘었다 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이런 내용을 소개하는 책에서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소재는 다중우주다. 우리 우주가 끝이 아니라는 ... ...
이전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