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매미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열대야 현상과 인공조명때문에 밤늦게까지 시끄럽게 우는 매미를 해충으로 여기는
사람
들이 많다”고 안타까워했어요. 이어 “매미 교육과 연구를 통해 매미와 인간이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고 말했지요.지사탐 활동이 매미와 공생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길 바랍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유공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먹으면 꼭 배탈이 나는
사람
들이 있어요. 이건 우유 속 ‘유당’이라는 성분 때문이에요.
사람
은 태어날 때 ‘락타아제’라는 유당 분해 효소를 갖고 있어요. 하지만 어른이 되면 이 효소가 활동을 멈추는 경우가 많지요. 그래서 우유를 잘 소화시키지 못하게 되는 거예요. 이럴 때는 우유 대신 ... ...
Part 2. 상괭이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하지만 상괭이는 바다에 살면서도
사람
들의 눈에 잘 띄지 않아요.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
들은 상괭이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답니다.상괭이는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소형 돌고래로, 올라간 입꼬리 덕분에 ‘웃는 돌고래’라는 별명을 갖고 있어요. 멸종 위기에 처한 중국 양쯔강 돌고래와 같은 종으로 ... ...
Part 3. 전자 심판으로 더욱 흥미진진한 2016 리우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다르다.]바로 측정해서 바로 확인한다! 양궁예전에는 화살이 점수의 경계선에 꽂힐 경우
사람
이 특수 확대경으로 보고 점수를 판정했어요. 그래서 관객과 선수들은 점수를 확인하는 동안 떨리는 마음으로 기다려야만 했지요. 하지만 이번 리우올림픽에서는 ‘과녁 스캐닝’ 기술로 기다림 없이 바로 ... ...
Part 1. 단서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상괭이가 어시장에?!올해 5월, 죽은 상괭이 약 1.8톤이 한 어민의 창고에서 발견됐어요. 이 어민은 상괭이를 불법으로 포획한 뒤,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답니다.서해안과 ... 특별한 질병이나 기생충 감염도 없었지요. 부검 결과 별다른 특징을 찾지 못하자
사람
들의 의문은 커져만 갔어요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
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상괭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
들은 모두 일반 시민으로, ‘상괭이 서포터즈’라 불리죠. 이들은 2015년 봄, 상괭이 두 마리가 어떻게 한강으로 들어오게 됐는지를 분석하고 있어요. 밀물 때 상괭이가 보를 넘어 한강으로 들어왔다가 썰물 때 신곡수중보에 ... ...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아예 조직검사가 불가능하지요. 이 때문에 쥐의 뇌로 실험을 대신한답니다. 하지만
사람
의 뇌와 차이가 있어서 연구가 완벽하진 않아요. 제현수 교수가 만든 중뇌 오가노이드는 더 정확한 실험이 가능하도록 해 줄 거예요. 교수님과 함께 파킨슨병을 정복하는 그날까지 제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멀리 날아갔을 것으로 판단해서 아웃 오심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거예요.이 연구를 통해
사람
들은 정확한 계측을 하는 전자 심판이 경기에 꼭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답니다 ... ...
[헷갈린 과학] 망고 vs 파파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하고 샐러드 드레싱에 넣기도 하며, 빵과 푸딩 같은 디저트 재료로 쓰기도 해요. 많은
사람
들이 망고를 좋아해서 ‘열대과일의 여왕’이라는 별명도 있답니다.망고 나무는 10~30m 정도 높이로 자라요. 꽃은 연한 붉은빛을 띤 흰색으로, 가지 끝 부분에 작은 꽃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달리지요. 열매는 5~1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점은 몸무게는 상황에 따라 계속 줄어들지만 몸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는 거예요. 이렇게
사람
이나 한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양을 ‘질량’이라고 해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장소가 바뀌어도 항상 일정하지요.우리는 흔히 무게를 말할 때 ‘kg’을 써요. ‘내 몸무게는 60kg이야’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