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온몸으로 피를 보내기 위해 열심히 심장을 움직이는 심장근육은 어떻게 생겼을까. 구불구불한 뇌 주름은 어떤 모양일까. 의학 지식을 설명하는 데 그림이 없다면 설명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난감할 것이다. 하물며 혈관의 생김새나 이름, 장기 부위별 크기와 움직임처럼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 지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올림픽을 향해 4년을 달려온 선수들을 위한 또 하나의 중요한 기술은, 금지 약물을 철저히 가려내는도핑 테스트 기술이다. 특히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도핑 스캔들’을 일으킨 러시아 선수들이최근 대거 출전 금지를 당하면서, 평창 동계올림픽은 역대 가장 엄격한 도핑 검사를 예고하고 있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낭포성 섬유증’이라는 유전질환이 있습니다. 세포 내 염화이온(Cl-)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백질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 질병을 앓는 환자들은 ‘낭포성 섬유증 막 횡단 전도 조절(CFTR)’이라는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유전자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고양이는 살아 있기도 하고 죽어 있기도 하다.”상자 안에 고양이가 있다. 고양이와 함께 독약이 든 병과 방사성물질을 넣어 둔다. 시간이 지나 방사성물질이 붕괴해 병이 깨지면 고양이는 독에 중독 돼 죽는다. 방사성물질이 그대로 있으면 고양이는 살아남는다. 하지만 상자 속을 알 수 없으므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진로 설정은 미래를 위해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대입 전형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비중이 커지면서 입시에서도 매우 중요해졌다. 학종의 특성상 학생의 진로가 당락에 영향을 줄만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학종에 ‘진로희망사유’ 추가학종은 종합적이고 정성적인 평가로 치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곡물에 잘한다, 곡물이 자란다 한적한 시골길, 느닷없이 초가 두 채와 대나무 다리가 보입니다. 지금까지 단단한 다리만 건넌 사람은 삐걱삐걱 대나무 다리 소리가 무섭게 들릴지도 몰라요. 조심조심, 느리게 걷게 되는 모습이 사뭇 잘 어울리는 이곳은 ‘사완본딘 농장’입니다. 사완본딘은 ‘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날이 춥군요. 저는 여러분이 감기에 걸리지 않기를 바라기 때문에 추위를 막으러 떠났습니다. 북극여우와 함께 말이죠. 이누이트족 소녀와 북극여우가 추위의 원인을 찾아나서는 게임 ‘네버 얼론’을 즐긴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여우가 지나치게 귀여우니 심장 ‘쿵’ 하지 않게 꽉 붙들어 매세요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더비 매치’는 보통 연고지가 같은 팀들끼리 부딪히며 생기거나, 역사적 문화적 지역감정으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중 같은 지역을 연고지로 가진 두 팀 사이의 더비를 ‘지역 더비 매치’라고도 부릅니다. 리버풀 FC와 에버튼 FC의 ‘머지사이드 더비’, 레알 마드리드 CF와 아틀레티코 ... ...
- Part 2. 빙하가 녹으면 어떤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해수면이 상승해서 어마어마한 일들이 일어난다?!빙하가 녹으면 생기는 가장 큰 문제는 해수면 상승이에요. 과학자들은 만약 북극의 그린란드 빙하가 전부 녹으면 해수면이 6m, 남극의 빙하가 전부 녹으면 해수면이 65~70m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1세기 말까지 지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도 스키를 처음 배울 땐 넘어지기 일쑤예요. 미끄러운 눈 위에서 중심을 잡는 일이 쉬운 게 아니지요. 그런데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탈 수 있는 걸까요? 최초의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 ...
이전5545555565575585595605615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