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17,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우병 공기로도 전염된다과학동아 l201102
- 연구팀은 광우병에 감염된 쥐의 뇌조직이 2.5% 함유된 에어로졸을 만들어 쥐에게 각각 1분, 5분, 10분씩 노출시켰다. 그러자 노출된 시간과 상관없이 모든 쥐들이 광우병에 걸렸다. 감염은 쥐의 면역계를 통하지 않고 일어났다. 에어로졸을 흡입한 코의 신경을 통해 바로 뇌에 감염됐다. 다만 노출된 ... ...
- 3차원 영상으로 암모나이트의 식성 밝혀과학동아 l201102
- X선을 이용해 광물로 변해 버린 암모나이트 화석의 3차원 영상을 찍어 분석한 결과를 1월 7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 결과 암모나이트는 단단한 성분으로 된 주둥이를 가졌다. 또 아래턱이 위턱보다 크고 뭉툭하며 아래턱 부분에 가느다란 수염 모양의 이빨이 여러 겹으로 나 있다. 현존하는 ... ...
- ‘베프’와 나는 유전자까지 닮았다?과학동아 l201102
- 친한 친구끼리는 식성이나 옷차림, 성격 등 많은 부분이 닮은 이유는 뭘까.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전적인 끌림’에 의해 친한 친구가 됐을 가능성이 크다.제임스 포울 ...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8일자에 소개됐다 ... ...
- 음악을 들으면 행복해지는 이유과학동아 l201102
- 심리학과 로베르 자토르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월 9일자에 게재했다. 도파민은 기쁨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음식을 먹을 때 분비된다. 연구팀은 음악을 들을 때 도파민이 뇌의 어느 부분에서 나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양성자단층촬영(PET)과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02
- 양전자는 곧바로 전자와 쌍소멸해 빛을 발한다. 중성자는 약 200μs(마이크로초, 100만 분의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이용해 ...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과학동아 l201102
- 당한 병사들은 위생이 열악하고 물품이 부족해 큰 고통을 받았다.][용어설명 - 크림전쟁1854년 3월부터 1856년 3월까지 지속된 러시아 제국과 연합국 사이의 전쟁. 연합국에는 영국, 프랑스, 사르데냐 왕국, 오스만 제국이 참가했다. 전쟁의 대부분이 흑해에 있는 크림 반도(색칠한 부분)에서 일어났기에 ... ...
- 지구에 숨어든 외계행성의 전사과학동아 l201102
- 통해 나만의 환상적인 영화를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한컵의 과학] 발명품이 탄생한 비결1728년 프랑스의 치과 의사 피에르 포샤르는 치아를 가지런하게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납작하고 작은 금속 조각을 환자 치아에 실로 묶어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것이 최초의 치아 ... ...
- 2020년 세상을 바꿀 독자선정 10대기술과학동아 l201102
- 홈페이지(http://event.dongascience.com/ds302)에서 투표하고 상품도 받아가세요. 투표에서 1등으로 선정된 분에게는 고급현미경을 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이 제안해주신 기술, 정말 10년 뒤에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요? 독자 선정 10대 기술 중 미래에 실현될 것 같은 기술, 정말 ...
- 폐품으로 만든 태양광 로봇 쏠라 로버과학동아 l201102
- 로봇 스피릿과 오퍼튜니티가 2004년 1월 화성에 착륙한 지 7년이 지났다. 이들은 3개월 정도 움직일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아직까지 탐사를 계속하고 있다. 현재 스피릿은 바퀴가 모래밭에 빠져 움직이지 못하고, 오퍼튜니티도 초당 5cm 밖에 움직이지 못하지만, 혹독한 환경에서 7년이나 버텼다는 ...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과학동아 l201102
- 효소가 있을 거라고 추측했으나 이번에는 다른 팀에 발견의 영예를 넘겨줘야 했다. 1991년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솔로몬 스나이더 교수팀은 일산화질소합성효소(NOS)의 실체를 밝혀냈고 이 효소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도 알아냈다.아무튼 일산화질소에 관한 논문들 덕분에 몬타나 박사는 1990년대 ... ...
이전555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