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구"(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변종 광물은 인류 문명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3, 4월호에 소개한 플린트나 흑요석은 도구로써 초기 인류에게 실용적인 도움을 줬다.내 손목 위에도 수정이 있다과학적인 분석 능력이 점점 발달하면서 각종 광물들이 갖고 있는 고유한 물리·화학적, 광학적 특성들이 속속 밝혀졌다. 그리고 그 특성을 ... ...
- 아이팝콘으로 만드는 온도계 ‘액션코딩 아이팝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필요하지요.아이팝콘에는 다양한 센서가 들어있어서, 이를 활용하면 재미있고 유용한 도구를 만들 수 있답니다. 앞서 말한 온도계를 만들 수도 있어요. 함께 만들어 볼까요?※ 아이팝콘 앱 화면의 아래쪽 가운데에 ‘실험실’이라고 쓰인 동그란 아이콘을 눌러서 아이팝콘 기기와 페어링하세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는 칸으로 들어가 문을 잠갔다. 가방 안에는 학교 연극부실에서 몰래 가져온 변장 도구가 있었다. 하림은 가능한 어색하지 않으면서 달라 보이도록 눈썹을 그리고 얼굴빛을 바꾸고 안경을 썼다. 옷도 미리 준비해 온 다른 색 옷으로 갈아입은 뒤 화장실을 나섰다.아무도 하림에게 신경 쓰지 않았다.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두고 갔다는 가설에 무게가 실리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호모 날레디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시했다.연구 결과는 학술지 ‘이라이프’ 5월 9일자에 세 편의 논문으로 실렸다.doi:10.7554/eLife.24231, doi:10.7554/eLife.24232, doi:10.7554/eLife.2423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장 많다. 빵을 만드는 전 과정이 담겨 있는 벽화부터 빵을 구웠던 터, 밀을 갈았던 도구나 반죽을 구웠던 토기와 화덕…, 심지어 수도였던 테베에서는 멘투호테프 2세의 무덤을 발굴하던 중, 약 4000년 된 빵의 화석도 발견됐다. 당시 빵의 종류는 40가지가 훨씬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대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받으면 조개껍질 모양의 날카로운 날을 가진 형태로 깨진다.인류는 이 날카로운 날을 도구 삼아 수렵활동을 했다. 날카로운 날로 동물의 가죽을 예리하게 해체해 추위를 피할 따뜻한 의복을 만들었다. 고기도 손쉽게 자를 수 있어서 영양가 높은 식단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이런 흔적은 전세계 ...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역할을 하는 연결 통로가 뚫려 있거든요. 이 모든 것이 변변한 측량 기구와 땅을 파는 도구도 없이 이뤄졌답니다. 도시가 지하로 내려가는 이유는?지하는 미래 도시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도 매력적인 공간이에요. 지하 공간에는 여러 장점이 있거든요.우선 기후나 온도 등 수시로 변하는 ...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지내다가 얼마 전부터 작은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어요. 십여 년 전 기계식 퍼즐(도구를 이용하는 퍼즐)의 매력에 빠져 하나둘 모은 게 3000점이나 되네요.Q 퍼즐박물관을 방불케 하네요. 퍼즐에 빠진 계기가 있나요?2002년 싱가포르로 출장을 갔어요. 하루는 재래시장에 들러 구경했는데, 한 상인이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도 땅속을 파는 것은 목숨을 걸고 해야 하는 일이었어요. 측정 기구와 땅을 파낼 도구가 부실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무너지기 쉬운 땅속에서 오랜 기간 공사를 하다가 종종 인명 사고가 일어나곤 했지요. 하지만 지금은 어떤 땅이라도 뚫을 수 있답니다. 1960년대 거대 굴착 장비인‘TBM’이 개발됐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헤이스베이트의 논문을 꼼꼼히 읽고, 그 내용을 강의하기도 했습니다. 이 새로운 도구를 써서 풀 수 있는 문제가 얼마나 더 있는지 대단히 궁금합니다. 여러분들도 함께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