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d라이브러리
"
도달
"(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만약 막다른 길에 도착했다면 바로 앞 갈림길에서 반대쪽으로 간다.➋ 새로운 갈림길에
도달
할 때마다 앞의 길이 막혀 있진 않은지 살펴본다.➌ 막다른 길을 향해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 주저 없이 온 길을 다시 되돌아간다.➍ 양쪽 방향으로 표시된 길은 절대로 들어가지 않는다 ... ...
[포토뉴스] 수학 패턴 따라 먹이 찾는 배럴 해파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받아 더 깊숙한 곳이나 더 얕은 곳으로 이동해 먹이를 찾아 움직인다. 만약 이렇게
도달
한 새로운 위치에서 먹이가 발견되지 않으면, 이들은 다시 물살을 타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이와 같은 배럴 해파리의 레비 워크를 통한 탐색 전략은 슈퍼컴퓨터에서 쓰이는 탐색 알고리즘의 한 종류인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이 중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대부분 산란되지만, 파장이 긴 붉은 빛은 살아남아 달까지
도달
한다. 결국 이 불그스름한 태양빛이 달에서 반사돼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물드는 것이다.이 날은 저녁 6시 6분에 해가 져서 6시 14분부터 부분월식이, 7시 24분에 개기월식이 시작된다. 10시 35분에 반영식까지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우린 어쩔 수 없는 지구인인가 보다. 우주멀미로 괴로워하는 탑승객도 많았다.우주고도
도달
파랗고 동그란 지구최고비행고도인 110km를 알리는 알람이 울렸다. 지구방향 창문으로 향했다. 창문 너머로 얇은 대기층과 지구의 둥근 가장자리가 보였다. 한 번도 보지 못한 지구 풍경이었다. 우주에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우주관광의 로망, 온전히 둥글고 창백하게 푸르른 지구를 볼 수 있다. 발사 후 ISS에
도달
하는 시간은 수 시간에서 길면 수 일이다. 지구 상공에서 ISS까지 직선 거리는 350km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에 불과하지만, ISS가 초속 8km로 지구 주위를 돌면서 계속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발사부터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볼트는 무려 속도를 180% 끌어올렸다. 50~60m 구간에서는 평균 초속 12.2m라는 엄청난 속도에
도달
했다. 반면 우리 선수의 최고 구간속도는 초속 10.8m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한 구간밖에 유지하지 못했다. 비유하면 볼트는 스포츠카이고 우리나라 선수는 승용차다. 승용차가 아무리 빨리 시동을 걸어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점점 띄엄띄엄 흩어졌다. 현장에는 가문비나무가 거의 없었다. 수목의 북방한계선에
도달
한 것이다.기자와 동행한 이은주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카운실 지역은 북방침엽수림(타이가) 지역과 툰드라 지대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지구온난화의 가속도가 가장 빠른 곳”이라고 설명했다.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말아요. 하지만 크기가 큰 유성체는 대기와의 마찰과 열을 견디고 지구 표면까지
도달
하는데, 이렇게 지구 표면으로 떨어진 유성을 운석이라고 하지요. 유성을 뜻하는 영어 ‘meteor’에 주로 암석 이름에 붙는 ‘-ite’를 붙이면 운석이라는 단어인 ‘meteorite’가 된답니다. 3월 9일 떨어진 별똥별,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마찬가지예요. 우선은 재미없어도 열심히 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그러다 어느 경지에
도달
해서 어려운 문제도 척척 풀게 되면 재미를 느낄 수 있어요. 그런데 수학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있어요. 바로 수학 퍼즐을 푸는 거예요. 다양한 수학 퍼즐을 풀면서 문제를 푸는 즐거움을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거죠.K 그렇습니다. 투수 마운드에서 포수 글러브까지의 거리는 18.39m. 투수가 던진 공이
도달
하는 데 걸린 시간은 겨우 0.44초입니다. 저걸 제대로 보고 친다는 건 거의 불가능해요.Y 눈이 아주 예리하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K 안 될 거예요. 운동 선수들이 동작(배트를 휘두름)을 거는 데 걸리는 시간은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