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선
어류
고기
살코기
육류
식육
fish
d라이브러리
"
물고기
"(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그레타 베가 미국 스토니브룩대 생태진화학과 교수팀은 전체
물고기
의 96%를 차지하는 조기어류(다랑어 등이 속한 어류군)의 개체수와 분포 변화를 조사했다. 그 뒤 바다와 민물 생태계로 구분해 이 종들이 각각 얼마나 빨리 번식하고 멸종하는지 비교했다.그 결과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빨리!”여기저기서 다급한 목소리가 들려온다. 레고로 만든 각종 로봇이
물고기
와 옥수수 모형 등을 부지런히 나른다.이곳은 2012 FLL KOREA 대회 현장. 지난 2월 4일 올림픽공원 내 SK올림픽 핸드볼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창의공학교육협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했다. 대회에 참가한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단위로 송사리의 위치를 좌푯값으로 표현해 이동을 수치화했어. 이 연구 결과는도망치는
물고기
를 몰아서 잡는 ‘함정 어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해.하지만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더 큰 이유는 따로 있어. 동물의 다양한 행동들을 수학적 자료로 모아두면, 생명에 당장 지장을 주진 않지만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따라 부레에 모아두는 공기의 비율이 다른데, 대개 민물에 사는
물고기
보다 바다에 사는
물고기
의 부레에 산소 비율이 높다.하늘을 나는 곤충이나 새의 몸속에도 이와 비슷한 쿠션(기낭)이 들어 있다. 기낭에 공기를 모아두면 체중이 가벼워져 날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특히 새의 몸속에 들어 있는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구리 뿐 아니라 척추동물 가운데서도 가장 작은 종으로 기록됐습니다. 이전에는
물고기
가 기록 보유자였다네요.그렇다면 가장 큰 개구리는 어떤 종류일까요? 황소개구리 아니냐고요? 물론 그 녀석도 엄청 크기는 크죠. 하지만 기록 보유자는 아프리카 카메룬에 사는 골리앗개구리(goliath frog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면적이 2000만m2에 달하며 모두 13개의 섬으로 이뤄져 있다. 6개의 환초를 포함해 5개의
물고기
섬, 2개의 초승달 섬이다. 그러나 우주에서 보니 마치 아기 욕조에 떠 있는 작은 모형 같다. 위성이 보면 한 뼘도 되지 않는 그곳에서 인간은 우주보다 광대하고 아름다운 꿈을 꾼다. 오늘도 우리는 아리랑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
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자극 전달을 억제하게 된다(반대로 음이온이 나가면 흥분한다). 실험 결과 이들 실험
물고기
들의 가바-A 수용체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음이온을 내보냈다. 이 때문에 신경세포는 흥분 상태가 돼 행동 과잉을 유발한다. 겁이 없어졌다기보다는 천적 앞에서 행동을 절제하지 못해 천적을 ... ...
물고기
, 뚜벅뚜벅 걷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네발 동물의 기원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동물이 네 다리로 땅에 첫 발을 딛기 전에
물고기
는 이미 육지에서 살 수 있는 과정을 끝낸 셈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2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됐다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술이 새로 나오기 때문이죠. 앞으로도 계속 이런 로봇을 만들 생각입니다.”[사진 속
물고기
로봇의 꼬리지느러미는 인공근육으로 제작했다. 쌍안정성을 가진 소재는 반응속도가 빨라 인공근육으로 개발하면 유용하다.][조규진 교수팀은 파리지옥의 잎처럼 쌍안정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해 로봇을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유전자에 따라 하는 역할이 달라지기도 하거든. 예를 들면
물고기
의 아가미를 만드는 유전자가 인간에서는 허파를 만들게 한단다. 이 두 가지 문제만 해결된다면 용을 찾으려 애쓰지 않아도 생명공학 기술로 바로 만들 수있지.”"용을 만드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는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