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속"(으)로 총 2,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현실이란 게 뭔가? 현실을 어떻게 정의할 텐가? 당신이 보고 느끼고 냄새 맡고 맛보는 데서 오는 전기신호를 뇌가 해석한 것, 그게 바로 현실이다.” -영화 ‘매트릭스(1999)’ 中 모피어스(로런스 피시번)의 대사우리 뇌에는 촉각을 느끼는 ‘감각영역’이 있다. 꼬집으면 신경을 타고 전기화학적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쾅’ 굉음과 함께 모든 것이 흔들렸다. 첫 지진은 4월 25일 오전 11시 56분,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81km 떨어진 람중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가 11km에 불과한 규모 7.8의 강진이었다. 도시 대부분의 건물들이 힘없이 무너져 내렸고 도로가 끊겼다. 천년 문화유적을 간직한 사원들과 왕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가는 비가 흩뿌리던 4월 29일 오후 7시. 이따금 갈매기 울음 소리만 들려오던 충남 태안 신진항의 한 횟집이 갑자기 시끌벅적댔다. "가까이 가보니 대접이 엎어져 있더라고요. 팔을 살짝 넣어서 그릇을 뒤집은 다음에 집었어요." "와~, 실력이 나날이 느네요!" 무용담을 쏟아낸 열댓 명의 남자들은 선박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피이~’ 높고 날카로운 소리가 해변을 울렸다. 소리가 나는 쪽으로 급히 망원경을 돌렸다. 맨눈으로 잘 보이진 않지만 화면 속에 검은 얼룩과 이상하리만치 길고 붉은 부리가 보인다. 검은 머리와 흰 배가 마치 턱시도를 입은 듯 하다해서 ‘갯벌 위의 신사’라는 별칭을 가진 검은머리물떼새다.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오래 전부터 파충류는 인간과 별로 사이가 좋지 못했다. 신화나 전설 속의 파충류는 대부분 혐오스럽거나 위험한 동물이었다. 아마 이들의 독특한 외모와 특성 때문이었을 것이다. 기원전부터 시작된 파충류에 대한 푸대접은 과학이 발달한 20세기까지도 이어졌다. 1950~1960년대에, 과학자들은 동물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온도의 기준점에 대해서 흥미로운 제안이 많았다. 버터가 녹는점이나, 가장 더운 여름날의 기온,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지하실의 온도 등이 있었다. 심지어 손을 넣고 견딜 수 있는 가장 뜨거운 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자는 엽기적인 주장도 있었다.위대한 뉴턴조차 시시각각 달라지는 사람의 혈액 ...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동네 서점이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놀이터였던 시절이 있었다. 잔잔한 음악이 흘러 나오는 서점 안을 그저 휘 둘러보면서 거니는 것만으로, 차곡차곡 쌓인 지식이 머릿속으로 들어오는 것 같았다. 실제로도 그랬다. 눈에 띄는 책 한 두 권을 슬쩍 들춰봤다가, 운이 좋으면 나와 동시대에 존재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나사(NASA) 앵커 안녕하십니까, 시청자 여러분. 그동안 뻔한 뉴스에 식상하셨죠. 저희는 이제 좁은 대한민국 안에서 복닥복닥 지지고 볶는 이야기를 다루지 않겠습니다. 온 우주로 시야를 넓혀 새로운 뉴스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야심차게 준비한 개편입니다. 전 지구적인 기후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2040년 3월, 당시 나는 화성에서 돌아온 뒤 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으로 복귀해 동료들과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었다. 학교에서 강연 요청이 밀려 들어왔고, 방송 인터뷰와 신문 칼럼 집필, TV 출연 요청이 이어졌다. 요청에 일일이 응하면서도, 화성탐사를 통해 얻은 수많은 우주기술을 산업계에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약 46억 년 전 이제 막 태어난 아기 지구는 아주 뜨거웠다. 수많은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했고, 이 충돌로 생긴 에너지 때문에 지표면의 온도는 수천ºC에 달했다. 암석이 녹을 정도로 뜨거웠으니, 물은 당연히 모두 증발해 우주 공간으로 사라졌을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지구는 표면의 절반 이상이 물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