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의 실험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당시인 2017년과 2018년 그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와 ‘독일화학회지’에 유기 촉매를 이용해 광학이성질체 중 단 한 종류의 유기화합물을 합성하는 비대칭합성 연구결과를 ... ...
- [그래프 뉴스] 가상현실(VR)로 주사의 아픔은 안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하면서 주사를 맞았을 때 아픔과 불안을 덜 느낀 거예요. 연구를 이끈 제프리 골드 박사는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해 주사를 아프지 않게 맞을 수 있다면 병원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어요. [그래프 읽어줌] 주사를 맞을 때 얼마나 아팠는지, 얼마나 불안했는지를 평균 점수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기후변화 분석한 물리학자들 노벨 물리학상 수상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사피엔자대학교 교수입니다. 하셀만 교수는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에서 물리와 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단기적 변화를 뜻하는 날씨와 장기적인 변화를 뜻하는 기후를 연결하는 모형을 만들어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인간 활동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슈쿠로 마나베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오늘은 제가 아끼고 애정하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과 후배들의 이야기를 들려줄게요. 수학과 졸업하면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엿볼 수 있을 거예요! Q1. 수학과에 간 이유가 궁금해요! 윤석 중고등학생 때 가장 좋아했던 과목이 수학과 화학이었어요. 자연스럽게 둘 중 하나로 정하려했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와 미국 프린스턴대 등에서 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후 모델링과 지구시스템 상호작용이다 ... ...
- [특집] 물고기를 잡아도 너무 잡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상황은 오래전부터 예견됐어요. 지난 2006년, 캐나다 댈하우지대학교 생물학과 보리스 웜 박사의 공동 연구팀은 2048년이 되면 전 세계의 식용 해양 생물이 ‘붕괴’ 상태에 접어들 것이라는 연구를 발표해 충격을 줬어요. 붕괴는 한 종의 개체 수가 90% 이상 줄어 어획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해요. ... ...
- [숫자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5.5cm 카멜레온, 살아있어 다행이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그 근처에서 17마리, 미쿤디에서 32마리가 살고 있었어요. 연구팀의 크리스털 톨리 박사는 “세계에서 가장 보기 드문 이 카멜레온이 멸종될 위험에 놓여 있다”면서, “카멜레온이 사는 숲이 더이상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 [수학뉴스] 천재 시인 이상의 수학 시, 90년 만에 해석했다수학동아 l2021년 11호
- GIST 기초교육학부 교수와 오상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물리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상의 시에 등장하는 ‘육면각’, ‘무한육면각체’ 등과 같은 용어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이 용어들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무한육면각체는 무한히 많은 점으로 이뤄진 4차원 도형으로, ... ...
- [기획] 2021 THE NOBEL PRIZE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내 재산으로 기금을 만들어 매년 인류에게 가장 큰 이익을 준 사람들에게 수여하고자 한다.”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은 올해 노벨상 수 ... 도구를 개발하다Part3. 생리의학상│‘당연한 감각’ 이면의 비밀을 밝히다└김성은 박사 인터뷰Part4. 이그노벨상│진실한 궁금증으로 세상을 뒤집은 ...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칼텍의 데이비드 맥밀런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냈다. 2006년부터 아주대 화학과에서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린 촉매 연구실에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로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촉매와 촉매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hyjang2@ajou.ac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