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단일클론항체는 치료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면역
세포
가 분비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인터류킨(IL)-6 분자의 작용을 억제해 사이토카인 폭풍을 막을 수 있다.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컫는 사이토카인 폭풍은 최근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종은 아데노바이러스와 레트로바이러스다. 아데노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로 모든
세포
에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간 인간은 감기에 걸리면서 아데노바이러스를 많이 접했고, 그래서 아데노바이러스가 들어왔을 때 막아버리는 항체를 갖고 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의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보자. A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a1~ a8)과 B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b1~ b8)이 동시에 숙주
세포
안에서 복제를 시작하며 서로 섞이게 된다. 이때 이론적으로는 256(2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탄생할 수 있다. 실제로 가장 독성이 강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종은 19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 ...
수지상
세포
...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간의 면역체계의 본질은 수지상
세포
의 발견으로 재정의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73년 미국 록펠러대 면역학자였던 랠프 스타인먼은 전자현미경으로 ... 수지상
세포
로 만들어진다. 여기에 종양괴사인자(TNF)를 추가로 처리하면 성숙한 수지상
세포
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포함된 침전물에서 각각 발견됐다. 단백질은 박테리아
세포
로 들어가지 않고 DNA만
세포
내로 침투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는 뜻이었다. 이 실험은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힌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분야로 넘어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 신경
세포
를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
세포
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4년에는 기억이 복원되는 과정을 ‘네이처’에 공개했다. 또 상대를 기억하는 뇌 속 특정 영역을 찾아내고,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철회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스타인먼은 췌장암 판정을 받은 뒤 자신이 발견한 수지상
세포
를 활용한 연구단계의 치료제 물질 등 아직 효능이 입증되지 않은 치료법에 대해 스스로 실험 대상이 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
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의 사촌격 단백질이다. ACE는 원래 체내에서 혈압과 대사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ACE2도 체내 수분과 혈압을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는 2012년 6월 24일 이집트 바이러스 학자 알리 무함마드 자키 아인샴스대 의대 교수가 급성 폐렴 증상을 보인 사우디아라비아 환자의 허파 ... 안의 2형 상피
세포
고,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는 비섬모성 기관지 상피
세포
와 2형 상피
세포
라는 차이가 있다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하지만 이런 식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수는 매우 적다. 인위적으로 배양한
세포
에서는 증식하지 않는 바이러스가 상당수이기 때문이다.최근에는 바이러스의 정체를 빠르게 알아내기 위해 유전자 분석부터 시행하기도 한다. 특히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의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