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리
취급
운전
단속
관리
조작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종
"(으)로 총 1,099건 검색되었습니다.
[심리학 테라피] 영화 인셉션 과 인간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줄기인 피셔(킬리언 머피 분)의 스토리도 마찬가지다. 그는 코브가 꿈을 통해 무의식을
조종
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사랑 받지 못했다는 피해의식 속에서 살고 있다. 그래서 피셔가 무의식에서 아버지를 찾아가는 과정의 배경은 아름다운 해변이 아닌, 눈발이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 로봇은 아군과 적군을 어떻게 구별할까?사람이 직접
조종
하지 않아도 알아서 싸울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뭘까. 아군과 적군을 구별하는 기술이다. 영상을 통해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은 사람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얼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찾아 낸 뒤 ... ...
토끼농장 에서 벌어진 엽기적인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었는데, 그녀가 시험에서 좀 더 나은 성적을 받자 이 친구가 싹 돌변했다. 반 아이들을
조종
해서 그녀를 따돌리게 만들었다. 반 아이들은 처음에는 주저했지만 나중에는 그녀를 ‘왕따’시키는 데 한몫 거들었다.아이들의 세계에서 왕따는 지독한 형벌과 같다. 그녀는 어른이 돼도 형벌에서 ... ...
Controlling Our Drea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발작을 중지시키는 데 사용합니다. 만일 당신이 잠에서 깨면서 느끼는 감정을
조종
할 수 있다면, 당신이 꿈꾸면서 느끼는 감정도 제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뇌의 특정 영역마다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더 정확히 알 수 있다면, 그 영역에 자기장 신호를 쏴서 그 감정을 꿈에서 느끼도록 만들 수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군사전문가 피터 싱어 연구원은 2009년 한 강연에서 이라크 전쟁에 참가한 프레데터
조종
사의 말을 인용해 로봇이 일으킨 변화를 설명했다. 그 병사는 이라크에는 가지도 않은 채 미국에 있는 부대에서 “12시간 동안 적을 향해 사격하며 전쟁을 치른 뒤, 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 저녁을 먹으며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실제로는많은 과학자들이 난치병을 치료하고 인류의 생활을 편하게 하는 목적으로 뇌를
조종
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결국 5가지 방법으로 영화나 소설에서 등장하는 좀비를 만들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허무맹랑한 이야기로만 무시하기도 어렵다. 미니브레인 칩처럼 과학이 발전할수록 ‘좀비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산 하나를 전부 감시할 수 있다”며 “여러 대의 로봇을 상황실에 앉아 있는 사람 혼자서
조종
할 수 있어 굉장히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이런 일은 RC헬리콥터로는 할 수 없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며 감시할 수 없으니 결국 사람이 눈으로 보초를 서야 하고, 물에 빠진 사람이 발견되면 근처까지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전시관이나 미술관의 도슨트 로봇 정도가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이 밖에 원격
조종
군사 로봇 ‘탈론’이나 수술용 로봇 ‘다빈치’도 현재 로봇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그러나 과거와 비교하면 로봇 기술의 발달을 실감할 수 있다고 유 박사는 주장한다.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3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비행기에 탔어. 그런데 이건 또 무슨 어이없는 상황이지? 비행기 안에는 아무도 없었어.
조종
사도 없었지. 이런! 비행기도 나처럼 땅으로 추락하고 있잖아! 안절부절 못하고 주변을 두리번거리다가 으냥이가 깔고 앉아 있는 가방에 적힌 글이 눈에 띄었어. 낙•하•산! 꺄울~! 살았다! 낙하산을 타고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판이 달려 있는데, 전투를 벌이거나 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조종
사의 실수가 잦았다. 인간공학자들은 점차 사람이 실수할 확률을 고려하지 않은 시스템은 디자인이 잘못된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지각하기 시작했다.이런 이유 때문에 인간공학에서 발전한 디자인공학은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