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핏줄
혈맥
피쭐
핏줄기
d라이브러리
"
혈관
"(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중이다.“유동적인 신소재로 만드는 초소형 로봇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체내의 막힌
혈관
을 뚫는다든지, 재난 현장에서 구조하는 데 필요한 벌레 로봇들이죠. 또한 당뇨약이나 항암제가 인체에 지속적으로 흡수되도록 쾌속 조형을 통해 몸에 약물을 심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물어보니 짧은 사슬 지방산은 대장세포를 튼튼하게 만들어 암 같은 위장관 질환이나 심
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을 줄인다고 한다. 대장을 산성으로 유지해 병원균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나. 특히 대장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인 부티르산염은 대장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지 않게 해 대장암의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몸속에서
혈관
을 따라 흐르며 암세포를 무찌르는 초소형 나노로봇, 두루마리 휴지처럼 돌돌 말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대단한 기술이지만 더 이상 새롭게 들리지 않는 이유는 그것들이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상상해온 기술이기 때문이다.뉴스에서는 매일 같이 나노 기술이 발달하고 새로운 소재가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특성이 있다. 적색근 역시 가로무늬근의 일종이지만 미오글로빈을 많이 함유하고
혈관
이 잘 발달해 붉은빛을 띤다. 백색근에 비해 산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데다 지질을 산화해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장시간 지속적으로 운동하는 경우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흔히 생선을 흰 살 생선과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형성되는 무늬로 사람의 정보를 인식해. 홍채무늬는 일란성쌍둥이조차 다르다고 해. 손
혈관
인식 시스템은 손에 보이는 정맥으로 사람의 정보를 인식해. 우리나라의 암호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동아시아의 나라에서는 문맹이 많아 암호가 발달하지 못했어. 그 가운데서도 유행한 암호가 있는데 ... ...
스테로이드 약물로 ‘광명’ 되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폐쇄증은 당뇨병을 앓는 사람에게 흔히 나타난다. 망막에서 가지처럼 뻗어나간 주변
혈관
이 막히는 '망막 분지 정맥 폐쇄증'과달리 그동안 뚜렷한 치료법이 없었다. 망막 분지 정맥 폐쇄증에는 레이저 시술법이 쓰인다.연구진은 망막 중심 정맥 폐쇄증 환저 271명을 대상으로 92명에게는 안구에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관련학술지 ‘진 테라피(Gene Therapy)’ 8월호에 발표했다. 루게릭병에 걸린 쥐의 척수에 ‘
혈관
신생인자(VEGF)’ 유전자를 넣은 인간 신경 줄기세포를 이식한 결과 루게릭병 발병시기가 7일간 늦어졌고 운동기능이 호전돼 대조군보다 생명이 12일간 연장됐다.그러나 줄기세포로 루게릭병을 완전히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착용했을 때 몸이 받는 압력은 다음과 같다. 이 크기의 압력이면 안전띠 주변의 피부
혈관
을 터뜨려 멍이 들 수 있지만, 비록 멍이 들더라도 더 큰 부상을 막을 수 있기에 안전띠는 생명띠라는 별명을 얻게 됐다.물론 안전띠의 폭을 넓게 만들면 더욱 안전할 수 있다. 경주용 차에 쓰이는 안전띠는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담긴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정태섭 교수는 미국 펜실베니아대에서 자기공명뇌동맥
혈관
법으로 박사학위를 바은 뒤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영상의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전공인 방사선학을 이용해 엑스레이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를 개척한 그는 과학과 의학, 그리고 예술을 사랑하는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증식을 억제해
혈관
이 다시 막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교수는 “최대 90%까지
혈관
재협착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이외에도 쓸개즙이 간에서 만들어져 쓸개로 갈 때 지나가는 통로(담도)에 돌멩이(담석)가 생겼을 때도 풍선을 사용한다. 내시경으로 담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풍선을 넣어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