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품
산출물
상품
판매품
생산물
소산
수확물
뉴스
"
산물
"(으)로 총 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개인 맞춤형 의료시대가 열릴 것을 예상했어요. 그래서 유전자 염기서열이나 대사
산물
, 단백질 등을 간단하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과제를 제출했죠.” 실제 조 교수는 2007년 삼성전자 재직 당시 피 한 방울로 각종 암과 류머티스 등 스물한 가지 병을 검진하는 소형 혈액검사기 개발에 ... ...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가 뭐지?
2015.01.13
이 제도는 여러분도 한 번쯤 들어봤을 ‘교토의정서’의
산물
입니다. 1997년 12월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37개국은 일본 교토에 모여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때보다 평균 5.2% 감축하자는 ‘교토의정서’를 채택했다. (중략) 이 의정서는 많은 유산을 남겼다 ... ...
조울증, 결국 뇌세포가 원인이었어!
2015.01.06
15명과 일반인 25명의 뇌를 촬영했다. 이 장치는 세포의 대사활동 결과로 생성되는 부
산물
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치다. 조울증 환자의 뇌를 MRI로 촬영한 결과. 대뇌 백질(노란색)과 소뇌(붉은색)에서 뇌세포 대사활동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이오와대 제공 뇌 영상을 비교한 연구진은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분석해 알아낸 결과다. 연구팀은 “오늘날 의류로 흔히 쓰이는 양털(wool) 또한 진화의
산물
”이라며 “되새김질 중에 나온 지방산을 처리하는 과정이 기름지고 따듯한 양털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 ...
방선균에 대사공학 접목해 새로운 항생제 개발 시도
2014.12.28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방선균 중 일부는 다른 세균의 생장을 막는 항생물질을 2차 대사
산물
로 내놓는다. 현재 사용하는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반코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등이 모두 방선균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연구팀은 이 방선균에 시스템 대사공학을 적용하는 방안을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수 있어 핵융합 원리를 규명하는 데 이용된다. 올해 Z머신은 핵융합 반응에서 생겨나는 부
산물
인 중성자를 검출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핵융합의 실현 가능성을 한층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강렬한 푸른빛을 내뿜는 외계 쌍성은 4위로 꼽혔다. 이 사진은 스페인 알리칸테대 등 국제 연구팀이 ... ...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 같은 메탄올 연료전지
2014.12.17
메탄올 연료전지는 연료를 구하기 쉽고, 저장 및 운반도 편리해 응용 가능성이 높지만 부
산물
인 일산화탄소가 백금 촉매와 반응하며 6가 크롬이라는 중금속을 만들어내는데다가 성능이 계속해서 떨어지는, 일명 ‘피독현상(poisoning)’이 단점으로 지적돼 왔다. 연구팀은 전기 발생 과정에서 ... ...
불량 실리콘 웨이퍼가 나노분말로 환골탈태(換骨奪胎)
2014.12.17
분말, 불량 실리콘 웨이퍼, 금속 조각 등 반도체나 태양전지를 제조할 때 나오는 부
산물
을 플라스마의 높은 열로 녹여 증발시켰다. 그리고 증발 물질을 다시 급속 냉각시켜 나노분말을 만들었다. 이 나노분말은 휴대전화 배터리나 전기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금속배선과 연마제 등의 ... ...
안방에서 스마트폰으로 농장일 척척
2014.12.17
계획이다. 스마트팜 구축 비용은 농가당 300만~500만 원 수준이다. 쌀겨와 같은 농산 부
산물
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안도 나왔다. 미국 아이오와주에서는 옥수수껍질이나 옥수수대를 이용해 해마다 바이오에탄올 1억L를 생산해 200억 원의 부가수입을 올리고 있다. 또 대학과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숙취의 과학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그저 알코올(에탄올)의 첫 번째 대사
산물
인 아세트알데히드가 몸에 남아 있어 생기는 현상으로만 알고 있었다. 그런데 8장 시작부터 필자의 어설픈 상식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실망스럽게도 “아직 정확한 이유를 모른다”가 오늘날 숙취의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