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A. 다시 의학을 예로 들어볼게요. 미래에는 컴퓨터와 연동된 장비가 환자를 진단하면
데
이터베이스를 통해 가장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하죠. 치료과정에서 얻는 정보를 축적해 다음번에는 더 나은 치료법을 제시하고요. 이 순환과정을 ‘기계학습’이라고 해요. 의술이 컴퓨터 기반의 작업으로 ... ...
말 VS 당나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옛날 사람들은 주로 말을 타고 이동하거나 전쟁에 참가했지요. 말은 빨리 달리는
데
에 적합한 긴 다리와 긴 목을 가졌어요. 특히 달릴 때 추진력을 제공하는 뒷다리에는 근육이 발달해 적은 노력으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답니다. 평균 70㎞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죠? 다 자란 말은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말했다.“만약 그 문제를 풀면 미련 없이 물리를 그만 둘 거라고 농담하곤 해요. 그런
데
그럴 리가 없거든요? 죽을 때까지 물리를 할 팔자죠.”풀리지 않는 질문이 있으니 지치지 않아 좋다며 웃었다. 행복한 웃음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땅에 묻으면 3.4배 더 많은 전선이 필요하다. 이런 점을 모두 감안하면 수 km를 통과하는
데
수조 원의 비용이 든다.고압송전선 갈등의 근본 이유는?고압송전선을 계속 건설하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전기의 ‘대량 생산, 대량 송전’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생산량이 월등한 원자력발전소는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전 국제표준으로 선정됐어요. 이를 이용하면 LED의 밝기를 조절하면서도 버퍼링 없이
데
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죠.” “10년 안에 가시광통신 모르는 사람 없을 것”빛만 가리면 통신이 두절되는 라이파이의 단점은 곧 장점이기도 하다. 쓰고 싶은 범위에서만 통신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을 막고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설정은 아니지만, 사람간의 교감을 기계로 단순하게 바꿔버리는
데
거부감이 든 것입니다.“아기는 잘 듣거나 보지 못해도 신기하게 엄마를 알아보지요. 미국 애플사가 개발한 아이팟 터치가 소비자의 ‘감성’을 건드려 성공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괜한 게 아닙니다.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생겨. 그래서 단백질이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물질 찾아내야 하는
데
, 지금까지는 다양한 물질을 가지고 수많은 실험을 해야 딱 맞는 물질을 찾아낼 수 있었지. 하지만 이제는 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구조를 알아내고, 이 구조에 딱 맞는 물질을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신약을 ... ...
[포토뉴스] 소치올림픽 메달 순위,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총 207개의 메달을 획득한 반면 3,465달러 이하인 33개국은 총 15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데
그친 것이다.또한 눈이 내리는 환경이 메달 수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이 거의 내리지 않는 국가들은 올림픽에서 0~1개 정도의 메달만을 획득한 반면,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국가들은 평균적으로 한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존재를 예언했다. 바로 부피가 0이고 밀도가 무한대를 향해 수축하는 블랙홀이다. 그런
데
0과 무한을 인정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어쩌면 지금까지 블랙홀의 존재를 알아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3. 건축물을 설계할 때는 건물이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구해야 한다. 이때 미분이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발견한 것이 1911년이었으니까 그로부터 표준모형의 모든 입자들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에 거의 한 세기가 걸린 셈이다. 그 100년의 역사는 물리학 혁명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혁명의 역사였다. 힉스 발견 이후의 또 다른 100년은 인류에게 어떤 역사로 펼쳐질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가늠조차 하기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