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말 VS 당나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옛날 사람들은 주로 말을 타고 이동하거나 전쟁에 참가했지요. 말은 빨리 달리는
데
에 적합한 긴 다리와 긴 목을 가졌어요. 특히 달릴 때 추진력을 제공하는 뒷다리에는 근육이 발달해 적은 노력으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답니다. 평균 70㎞까지 속도를 낼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죠? 다 자란 말은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멀리 호랑이 인형을 발견하고는 반가움에 소리를 질렀다.“저기, 호랑이 인형이다!”그런
데
호랑이 인형은 한 사람만 있는 게 아니었다. 곳곳에 똑같이 생긴 호랑이 인형탈을 쓴 사람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있는 게 아닌가!“으…, 뭐가 이렇게 많아?”당황스러워 하던 소마는 이내 호랑이 등에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뒤 지금까지 6가지 유도물질 후보가 발견됐다. 이 중에서 현재 튜폰 교수팀이 연구하는 아
데
노신과 최인호 연세대 교수팀이 연구하고 있는 T1AM이라는 물질이 가장 유력한 후보다. 과연 이 연구가 성공해 사람이 다시 겨울잠을 자는 날이 오게 될까. 겨울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단언컨대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소리와 특성이 일치했단다. 백색소음은 우는 아기를 안정시키고 집중력을 높여준다는
데
, 인도에서 만난 신랑 신부와 남아공 국가대표 선수들은 어쩌면 자기들만의 진지한 시간을 보내고 있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생각지 못했던 소리의 신비로운 면모를 만나 반가웠다.저자인 배명진 교수가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생겨. 그래서 단백질이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물질 찾아내야 하는
데
, 지금까지는 다양한 물질을 가지고 수많은 실험을 해야 딱 맞는 물질을 찾아낼 수 있었지. 하지만 이제는 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구조를 알아내고, 이 구조에 딱 맞는 물질을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신약을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우주의 기운을 받는다면 그런 것도 다 고려해야 하지 않겠습니까?인생 모르는 겁니다. 쓸
데
없이 점쟁이에게 갖다 줄 돈 있으면 저축을 하든지 책이나 사서 보는 게 100만 배 낫습니다. 아니면, 친구에게 과학동아를 선물해도 좋아요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A. 다시 의학을 예로 들어볼게요. 미래에는 컴퓨터와 연동된 장비가 환자를 진단하면
데
이터베이스를 통해 가장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하죠. 치료과정에서 얻는 정보를 축적해 다음번에는 더 나은 치료법을 제시하고요. 이 순환과정을 ‘기계학습’이라고 해요. 의술이 컴퓨터 기반의 작업으로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존재를 예언했다. 바로 부피가 0이고 밀도가 무한대를 향해 수축하는 블랙홀이다. 그런
데
0과 무한을 인정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어쩌면 지금까지 블랙홀의 존재를 알아내지 못했을지도 모른다.3. 건축물을 설계할 때는 건물이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구해야 한다. 이때 미분이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발견한 것이 1911년이었으니까 그로부터 표준모형의 모든 입자들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에 거의 한 세기가 걸린 셈이다. 그 100년의 역사는 물리학 혁명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혁명의 역사였다. 힉스 발견 이후의 또 다른 100년은 인류에게 어떤 역사로 펼쳐질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가늠조차 하기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일으키는 T1AM이란 물질을 반복투여해서 각성기 1일 포함 총 5일 동안 겨울잠을 자게 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중 가장 오랜 기간이다. 실험을 마친 후에 후유증도 없었다. 현재는 동면기간을 더 연장하는 방안과 좀더 큰 포유동물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또 겨울잠을 자는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