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IF) 10 이상인 저명한 저널에 낸 논문은 총 12편. 이 때문에 그의 논문을 인용한 횟수는 200
7
년 말 1600회를 넘어섰다.오늘도 생체분자의 모양을 밝혀 짝을 찾아주는 ‘커플매니저’ 역할에 충실한 열혈 과학자의 모습에서 자부심이 느껴진다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호주를 그렸다 B B 골리친이 고안한 진동 속도를 기록하는 지진계 ① 수평동지진계 :
7
kg의 추를 두 철사줄로 매단 것을 주체로 하며 고유주기는 12~25s 정도② 상하동지진계 : 비헤르트지진계와 마찬가지 원리로서 크기가 훨씬 작다 골수의 백혈구 생성조직이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질환 소위 혈액의 암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최근 실시한 연구를 보면 20~24세의 사람들이 한 달 중 우울한 기간은 평균 3.4일인 반면, 6
7
~
7
4세의 사람들은 2.3일에 불과했다. 또한 뇌졸중이나 쇠약성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단기간에 엄청난 고통을 받지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그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느끼는 수준에 약간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구한다 명왕성의 궤도이심률이 0248로 행성 가운데 가장 크며 지구의 궤도이심률은 001
7
이다사정하기 전에 분비되는 액체로 질의 산성을 중화시킨다 이 액체가 분비되는 장소와그 역할을 해명한 학자의 이름을 따 쿠퍼선액이라 부른다 여성의 질은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산성을 띠고 있다맨눈으로 ... ...
대한민국 과학기술 이끌어갈 '알파우먼' 삼총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는 ‘RNA간섭기술’에 김 교수의 연구성과가 활용될 수 있다.200
7
년은 김 교수에게‘젊은 과학자상 ’‘로레알 유네스코 세계여성 과학자상’등 유난히 상복이 많았던 한해다. 김 교수는 “긍정적인 마음 가짐 덕분에 많은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었다”며 이공계 ... ...
태안 앞바다 기름 오염 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태계가 위험에 처해 있답니다.언제쯤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올까?지난 해 12월 1
7
일까지 10만 명이 넘는 자원봉사자들이 흡착포와 양동이를 이용해 기름을 퍼낸 결과, 사고 10일 만에 유출된 기름의 30%를 회수했어요. 하지만 아직도 바다 위에 남은 기름띠들이 가로림만과 군산 앞바다를 위협하고 ... ...
타자는 젖은 야구공을 싫어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995년부터 2001년까지 6.14였던 쿠어스필드에 등판했던 투수들의 평균방어율은 2002년부터 200
7
년까지 평균 5.34로 떨어졌다. 방어율이 낮을수록 실점이 적다는 뜻이다. 마이어 교수와 본 교수는 이 속설을 확인하기 위해 야구공 15개를 습도가 각각 32%, 56%,
7
4%인 방에 2주 동안 보관한 뒤 공의 무게와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위성을 개발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우주개발 로드맵에 따르면 달 탐사위성 1호는 201
7
년 개발에 착수해 2020년 발사하고 2호는 2025년에 발사할 계획이다. 1호는 달 주변을 도는 궤도선으로, 2호는 달 표면에 내리는 착륙선으로 각각 예정돼 있다.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달 탐사에 대한 ... ...
10년 후, 당신의 명품인생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찾았으면 분야를 살펴보자.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환경기술(ET) 문화기술(CT) 등
7
개 분야에서 하는 일과 관련 기업에 들어가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자. ‘학점’이나 ‘인맥’ 같은 막연한 계획보다 ‘신재생 에너지 연구로 학위 취득’이나 ‘새로운 게임 개발’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호기성 미생물이 치료하지 못했던 암세포까지 치료했다. 데이스 교수팀은 이를 200
7
년 6월 6일 영국 에딘버러대에서 열린 제161회 영국미생물학회에서 ‘혐기성 미생물과 암 질환 치료’란 논문으로 발표했다.클로스트리디아는 무산소 환경에서만 증식하는 혐기성 미생물이다. 데이스 교수는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