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북극'이 있는데 이곳은 우리 은하의 회전축과 평행한 선이 천구와 만나는 지점이다. 이
지역
은 은하수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하늘이기도 하다. 우리가 머리털자리에 있는 별을 볼 때 평평한 원반 모양을 한 우리 은하의 바깥을 직접 보고 있는 것이다. 이 사실은 이 부분의 하늘에 밝은 별이 없는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몇달 동안 부모님을 졸라 망원경 한대를 구입했지만 중3때 입시(경기도 평택은 고교입시
지역
)때문에 압수당했다.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망원경을 자작하기 시작했으며, 그결과 고2때는 전국과학전람회에서 '대기층이 천체관측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를 갖고 과학기술처장관상을 ... ...
칩차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잉크로 색칠돼 있는 암석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이 묘한 암석들은 콜롬비아의 다른
지역
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들이다. 암석들은 끌로 정교하게 조각돼 있었다.칩차족의 무덤은 높이는 3m 정도였다. 중앙에 기둥을 여러 개 세웠고 기둥 끝에는 조각장식을 해 놓았다. 그 주변에는 여러가지 색상의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보존돼 있다. 수선전도는 북쪽 도봉(道峰)에서 남쪽 한강에 이르는
지역
을 오늘의 종로거리가 가로지르는 것으로 서울을 그렸다. 또 종로를 남북으로 하여 지명(地名)을 새겨 놓고 있다. 그래서 서울거리를 북쪽은 북악(北岳)을 중심으로 보고 남쪽은 목멱산(木覓山), 즉 남산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 적도에서 밤과 낮의 온도차는 거의 1백℃에 이른다. 이
지역
에서 여름에는 온도가 37℃까지 올라간다. 바이킹 1호가 착륙한 북위 23°의 표면에 가까운 대기의 온도는 -29℃~-85℃이고, 이보다 훨씬 북쪽인 바이킹 2호의 착륙 지점에서는 겨울 밤의 온도가 -1백℃까지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느낀 건대요. 일본인은 자연조건을 잘 살리고 있는 것 같아요. 실제로 늘 불안정한 화산
지역
은 인간이 살기에 부적합한 곳이잖아요. 그런데도 잘 가꿔나가고, 오히려 그 불리함을 이용하고 있었어요. 어떻게 보면 자연으로부터 받는 도전을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강하게 받았어요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흉기로 변한다.지금도 컴퓨터나 탁상용계산기가 완벽히 보급되지 못한 중국이나 동남아
지역
에서는 주판이 그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스초티'라고 불리는 러시아식 주판 역시 금융기관 구석구석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금도 나이가 지긋하신 분은 컴퓨터로 모든 계산이 끝나도 다시 한번 주판으로 ... ...
중성미자의 비밀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하와이섬,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남아프리카 등 네군데에 관측소를 설치했고 칠레
지역
에도 관측소를 건설중에 있다.이 계획을 총괄하고 있는 조지 아이작 교수는 이렇게 결론짓고 있다. "태양중심부에 WIMP가 존재한다는 모델은 이론적으로 가상했던 태양모델보다 훨씬 비합리적이다. 달리 말하면 ... ...
고립된 과학기술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유럽공동체(EC) 등이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동구권과 아시아
지역
도 이에 대응하는
지역
공동체 결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의 형성은 지금까지 국가단위로 개발했던 과학기술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국가단위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대담한 대단위 연구개발이 가능해진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생중계로 보게된 것이다.적지의 정확한 지도는 전쟁수행에 필수도구다. 페르시아만
지역
지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미 국방성은 민간상업용지구관측 위성인 미국의 랜드셋 위성과 프랑스의 스팟 위성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지구관측위성은 해상도에서 군사정찰위성에 못 미치지만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