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들어왔다. 철은 산소가 없을 때는 물에 녹지만, 산소가 있으면 산소와 결합해서 산화철
형태
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시루떡처럼 쌓이게 된다. 간혹 화산 활동이 잠잠할 때는 바닷속에 많던 규산염이 대신 퇴적됐는데, 이 때문에 검붉은 산화철층과 밝은 규산염층이 번갈아 나타나는 호상철광층이 ... ...
지저귄다구요? 저희도 대화하는 거랍니다~
2015.06.30
하라는 의미의 ‘BAB’의 소리를 내는 식이다. 또 연구팀은 소리를 듣는 새들도 각
형태
에 걸맞은 행동을 보이는 것을 확인해 이 소리가 의미를 가졌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른 새들에게 ‘AB’의 소리를 들려주자 하늘을 바라보며 누가 날아다니는지 쳐다보는 듯한 행동을 보였고, ‘BAB’의 소리를 ... ...
남극 ‘펭귄마을’은 안녕하신가요
2015.06.26
펭귄의 행동을 기록한다. 자동기록기 무게는 수십 g으로 가볍고 털에 붙였다 떼는
형태
여서 펭귄 몸에 상처가 남지 않는다. 펭귄이 먹이를 먹고 하루 이틀 뒤 집으로 돌아오면 자동기록기를 수거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펭귄이 어디서 뭘 했는지 촬영한 영상은 자동기록기 하나에서만 10시간 분량이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다른 실험실로 두 생물을 분양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때 DNA 등 각 실험실에서 요구하는
형태
로 바꿔주는 것도 연구팀의 일이다. 가끔 ‘배설물’만 달라고 하는 곳도 있다. 바퀴벌레라면 체에 걸러 주면 되지만 진드기라면 현미경을 보며 붓으로 배설물을 직접 골라야 한다. ... ...
[메르스 업데이트] 독일, 메르스 백신 개발해 임상 돌입 예정
2015.06.24
대량 증식이 힘든 바이러스는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다른 바이러스에 유전자를 넣는
형태
로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면서 “임상시험을 마치고 상용화하기까지는 5~7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 ...
초소형 휴대전화 기지국 ‘스몰셀’ 국산화 성공
2015.06.22
A’ 기반 기지국 제어프로그램과 이를 점검하기 위한 개발 플랫폼, 그리고 휴대전화 전파
형태
를 조정하는 ‘빔포밍 고집적 다중안테나(Compact MIMO)’를 하나로 묶어 이 기술을 개발했다. 스몰셀은 초소형 기지국으로 휴대전화 통신망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물질과 결합하는지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메세커 교수는 “세포 안에 있는 온전한
형태
의 바이러스와 이 억제물질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추가로 실험할 예정”이라며 “다양한 억제물질 후보군을 실험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메르스와 싸우는 새로운 약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 ...
[메르스 업데이트]“메르스는 병원 내 감염, 대유행 가능성 낮아”
2015.06.22
병행한다면 메르스를 통제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메르스의 전염
형태
가 사스나 신종플루 같은 호흡기 질환이 아닌, 병원내에서 주로 감염되는 일명 ‘슈퍼박테리아’와 유사하다고 밝혔다. 메르스를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인 ‘황색포도상구균(MRSA)’과 비교하며 “주로 병원 ... ...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하나
2015.06.19
심한 원자로는 오염 정도가 자연적으로 감소할 때까지 기다리는 지연해체 방식이 절충된
형태
가 될 가능성이 있다. 문제권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염해체연구부장은 “원자로는 원격조종 크레인과 로봇 팔 등을 이용해 사람 대신 로봇이 해체할 수 있다”면서 “잘라 낸 조각은 로봇 팔로 드럼에 ... ...
[메르스 업데이트] 박쥐는 어쩌다 인간 감염병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나
2015.06.19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 특별한 시스템도 확인됐다. 박쥐가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기르는
형태
로 진화하면서 바이러스가 침투하더라도 인간처럼 감염되는 게 아니라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숙주가 된 것이다. 박쥐의 비행 능력도 바이러스와의 공존을 돕는 비결로 꼽힌다. 포유류 중에서 유일하게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