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킁킁, 냄새맡는 실 나왔다
2015.06.17
형태
로 만든 스마트 센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가느다란 실
형태
의 섬유를 센서로 만드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개발했다. 앞으로 냄새 맡는 센서를 옷 속에 내장하는 ‘스마트 의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형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그래핀 나노리본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개발
2015.06.16
이용해서 반금속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래핀 나노리본이란 2차원 평면
형태
의 그래핀을 리본 모양으로 잘라낸 것을 말한다. 연구진은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해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의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계산한 결과 두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 나노리본의 ... ...
‘메르스 낙관’ 모두 빗나갔다
동아일보
l
2015.06.16
‘2m 이내 밀접 접촉’이 없었는데도 감염됐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연무질(에어로졸)
형태
로도 감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보건당국이 최대 14일이라고 예상했던 잠복기도 실제로는 더 길다는 지적이 많다. 메르스 확진자 150명 중 146번 환자와 149번 환자의 경우 16∼18일 만에 발병된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빠른 사고, 정신적 유쾌함, 고조된 기분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며 “조증이 가벼운
형태
일 때는 창의성과 일의 성과면에서 다른 사람보다 이익을 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예술가들의 친인척을 조사한 결과 이들에게서도 정신질환의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정신질환은 유전적 요인이 ... ...
[메르스 업데이트]“한국 메르스 사망률 10%로 기존 사망률보다 낮아”
2015.06.15
나타났으며 2m 이상 멀리 떨어진 환자도 바이러스에 전염되는 등 알려진 바와 다른 전파
형태
를 보이고 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는 바이러스에서 특이한 변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현재 한국 정부의 대응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매일 메르스 감염자와 격리자, 사망자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뇌수막염도 1년 만에 1210명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세균은 바이러스와 달리 세포
형태
의 생명체로 스스로 세포 분열을 하면서 생존한다. 반면 바이러스는 유전정보와 단백질로만 이뤄져 있어 번식을 위해서는 숙주의 세포에 침투해야 한다. 번식 조건만 비교하면 바이러스에 비해 세균이 더 ... ...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밖 감염’ 왜 발생했나
동아일보
l
2015.06.12
남짓으로 먼 거리다. 이 때문에 응급실 14번 환자에게서 나온 바이러스가 1층 전체에 공기
형태
로 퍼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이러한 삼성서울병원의 공기감염 가능성에 대해 엄중식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해당 병원은 하루 ... ...
WHO 엠바렉 메르스, ‘韓 메르스’ 변종이냐는 질문에 대답 들어보니…관심UP↑
동아닷컴
l
2015.06.10
또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는 올해에도 20개 병원에서 메르스 감염이 나타나는 등 이런
형태
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전 세계 의료진에게 별다른 특징이 없는 이 병을 진료할 때 반드시 여행 경력 등을 물어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메르스 백신 개발에 대해선 “현재 중동에서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아버지 같은 환자 고치기 위해 줄기세포 연구”
2015.06.10
바꾼 건 단 한 개의 망가진 유전자였다. 그는 “이 사진을 본 뒤 유전자 몇 개로 다른
형태
의 세포를 만들 수 있겠다고 막연히 생각했고, 이때부터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회상했다. 야마나카 교수는 결국 쥐의 피부에 약간의 유전자 조작을 가해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 ... ...
쉬면서도 페이스북 자꾸 보고 싶은 이유는?
2015.06.09
위함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21명에게 사진 40장에 3가지
형태
의 설명 문구를 달아 보여 주면서 실험을 진행했다. 1세트는 ‘피곤해 한다’ ‘화가 났다’ 등 감정을 표현하는 문구를, 2세트는 ‘머리에 손을 대고 있다’처럼 단순히 행동을 묘사하는 문구였다.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