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과정에서 태양 질량의 수 배에 이르는 물질을 방출하고 중성자별이 된다. 하지만 이번에
연구
팀이 관측한 별은 폭발 과정에서 태양 질량의 5분의 1 수준의 물질을 방출하는 데 그쳤다. 카슬리왈 교수는 “이 별 가까이에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 블랙홀 등 쌍성을 이루는 별이 존재한다는 증거”라며 ... ...
[과학뉴스]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종이의 10만분의 1밖에 되지 않는 62nm(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안테나도 만들었다.
연구
에 참여한 바바크 아나소리 드렉셀대 교수는 “막센으로 만든 안테나는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다른 첨단 나노 소재로 만든 안테나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며 “우리 생활과 밀접한 기기들의 활용도를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향상시켜야 할지 알 수 있다”며 “특히 운동선수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10월 14~17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저인터페이스소프트웨어기술(UIST)’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김민아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동물원을 대체하자고 주장했습니다. [chat]이영욱_ 해외에 보면 동물 보호, 동물
연구
목적으로 동물원을 운영하기도 하던데요. 동물원이 잘만 운영되면 순기능도 있지 않은가 생각합니다.[chat]이도언_ 매우 큰 부지에 야생과 최대한 비슷한 환경을 조성하고, 같이 있을 수 있는 동물끼리 모아 야생에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센서를 심는 것이다. 기능을 유지하면서 부품 수도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다. 최근 국내
연구
진은 여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액정에 삽입할 수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지문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18년 10월 1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임스 앨리슨 미국 MD앤더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를 선정했다. ... 면역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
한 바 있다. limsoe@purdue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올해 노벨 화학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
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
한 프랜시스 아놀드 미국 캘 ... 전공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공대 프랜시스 아놀드 교슈의
연구
실에서 생화학과 박사과정
연구
원으로 재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교수는 2012년부터 NASA와 협력해 콜로이드 입자가 결합하는 원리와 과정을 ISS에서
연구
하고 있다. 이 교수는 “우주는 무중력 상태라 대류 현상이 없어 순수하게 콜로이드 입자의 결합 과정을 볼 수 있다”며 “지구에서 만든 실험 장치를 ISS로 옮겨서 우주비행사가 실험을 진행하는 동시에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13년 말, 대학 교수의 꿈을 이루기 위해 21년간 몸담았던 직장을 떠나 국내외 대학에 지원했다. 그리고 마침내 2016년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로 임용됐다. 국 ...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
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
를 하고 있다. hongsikjeong@tsinghua.edu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쏟아져 나온다. 이 책임
연구
원팀은 국내 기관들과 공동으로 한국의 독자적인 시감효능
연구
를 진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는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조명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며 “산업체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표준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