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 ...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모양의 미로.▼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아랍 제국의 일부였던 스페인을 통해 가장 먼저 유럽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유럽인들이
처음
부터 인도-아라비아 숫자에 호의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로마 숫자를 사용해 온 그들은 로마의 위대한 전통을 내세우며 인도-아리비아 숫자의 사용을 금지했다. 그 벽을 뚫고 인도-아리비아 숫자가 ... ...
범인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학탐정 : 그렇군요. 그럼 원래 식당에 있었던 찻잔이 몇 개였는지 확인해 보죠. 맨
처음
식당에 있던 찻잔의 수를 x라고 하면 찻잔의 총 수는 x+2가 됩니다. 여기서 3개의 잔에 홍차를 따르고 남은 잔이 4개이므로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 ㉢ )가 됩니다. 이 식을 풀면 원래 식당에 있던 찻잔의 수는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메이먼의 레이저가 연속 빔을 만들지 못했던 것에 비해 벨연구소의 가스 레이저는
처음
으로 연속 빔을 만들어냈다. 이는 통신용으로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같은 해 11월에는 후발주자였던 IBM의 피터 소로킨과 미렉 스티븐슨도 메이먼의 루비 레이저에서 사용한 광원의 500분의 1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 밖에 스타크2에는 변신수(Changeling)라는 재미있는 유닛이 있다. 변신수는 몸 색깔을
처음
마주친 상대편의 색으로 바꾼 뒤 해병이나 광전사(Zealot) 같은 상대편의 기본 유닛으로 변신해 적진으로 숨어든다. 이런 능력을 자연에서는 ‘의태(擬態)’라고 한다.저그 유닛 보러가기시공간 맘대로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위성을 가지고 있는데, 1655년 네덜란드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처음
발견한 타이탄은 그중에서도 크기가 가장 크다. 행성인 수성보다도 크다니 이름값을 하는 셈이다. 타이탄의 지름은 약 5150km이고 다른 위성들과 달리 엷은 대기층을 가진다. 대기 중에는 질소와 소량의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목적은 나노과학을 이용해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나노과학이
처음
발표된 1990년대 초 이후 약 20년간 연구가 이뤄지며 공학 분야에서 나노과학을 이용해 새로운 소자, 회로,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들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에 와서 나노과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이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철새의 계통을 연구하기 위해 꼭 필요한 DNA분석실과 구조된 새가 쉴 수 있는 공간도
처음
마련했다. 채희영 센터장은 “새로 짓는 센터가 완공되면 센터 소속 연구자들 외에 철새 연구를 하고 싶은 과학자들의 방문 연구가 가능해져 철새 연구가 더 활성화될 것”이라며 “철새 관찰과 연구의 저변 ... ...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다세포 생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다세포 동물을 발견한 적은 있지만, 평생 동안 산소호흡을 하지 않는 종이 발견된 것은
처음
이다. 이들 동물은 길이가 1mm가 채 되지 않았고, 형태나 구조가 해저 퇴적층에서 주로 서식하는 동갑동물과 유사했다.연구팀은 방사성 동위원소와 적외선을 이용해 이들의 신진대사활동을 분석했다.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