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17,6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01
생명체가 우주 어딘가에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의 SF시리즈 ‘스타트렉’의
1
967년 3월 9일 방영분 ‘어둠 속의 악마’에는 규소를 기반으로 진화한 생명체가 등장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01
시작했다.
1
990년대 이후에는 북한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침입하는 일이 잦아졌다.
1
999년의
1
차 연평해전에 이어 2002년의 2차 연평해전, 2009년의 대청해전에 이은 20
1
0년의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은 이 지역의 긴장감을 전시 수준으로 고조시켰다. 빼어난 경치를 보기 위해 이곳을 찾던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01
최대
1
0km 당
1
km 정도였다. 연구팀은 표면의 위치 오차는
1
0km당 30m, 높이 오차는
1
0km 당
1
m까지 줄였다.지금까지는 그림자에 가릴 때가 많아 자세히 볼 수 없었던 달의 극지 환경도 알 수 있게 됐다. 달궤도탐사선은 경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극지를 더 많이 지 ...
‘쓸데없는 생각’이 기억장애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01
있는 쥐는 익숙한 물건과 새로운 물건을 봤을 때 모두 같은 반응을 보였다. 반대로
1
시간 동안 어두컴컴하고 조용한 우리에 넣어 딴 생각을 하지 못하게 하면 기억장애가 있는 쥐들도 일반 쥐들과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맥타히 교수는 “기억장애는 뇌가 기억을 불완전한 형태로 저장하기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01
일으키지 않은 환경오염과 기후변화로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사하라 사막이 남쪽으로
1
년에 약 2km씩 커지고 있고, 모래바람이 호수 바닥에 조금씩 쌓이면서 진흙 밭이 돼버렸다. 동물들은 늪처럼 변한 호수에 빠져 죽기도 한다.가장 슬픈 장면은 아우군구 강 근처에서였다. 건기(5~6월)에 찾아오는 ... ...
FLL 로봇대회 열린다
과학동아
l
201101
학생들이 참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로봇대회 중 하나다. FLL 한국 예선대회는 20
11
년
1
월 29일에 열린다.FLL대회는 팀으로만 참가할 수 있다. 팀은 만 9~
1
6세의 청소년 5~
1
0명으로 구성한다. 학생들이 과제를 연구 분석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팀을 이끌어주는 코치도 필요하다.FLL대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01
과학동아 창간 25주년과 동아사이언스 창립
1
0주년을 기념해 열린 제
1
회 과학일러스트공모전 일반부 최우수상에 윤영원 서울대 시각디자인학과 연 ... 동아미디어센터 인촌라운지에서 열린다. 수상작은 이날부터
1
6일까지 5일간 같은 건물
1
층에서 전시된다. 주요 작품을 지면으로 소개한다 ... ...
제4회 독자위원회
과학동아
l
201101
있었습니다.마지막 모임이라는 아쉬운 마음에 저녁 6시가 훨씬 넘어서야 끝났습니다.
1
기 독자위원들은 배턴을 이어받을 2기 위원들에게 “과학동아에 대해 애정을 갖고 열정적으로 평가해달라”는 당부를 남겼습니다. 과학동아는 독자위원회뿐 아니라 독자들이 보내주시는 사랑과 관심에 힘입어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01
새로운 물질이나 원리를 발명한 사람에게 상을 주는 경향이 강한 것과는 대조적이죠.”
1
2월 8일 노벨로(路) 5번가에 자리 잡은 사무실에서 만난 얀 안데르손 카롤린스카 연구소 부총장은 노벨 생리의학상의 선정 기준을 이같이 설명했다.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가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01
브랜스필드와 웨델 해로 향했다. 이후 이 지역을 항해하며 해양퇴적물을 채집한 뒤 2
1
일 세종기지로 돌아왔다. 이 지역은 남극에 가까워 연구 가치가 높았지만, 떠다니는 빙하(유빙)가 많아 아라온 호가 없을 때는 연구하기가 쉽지 않던 곳이다.빙하를 시추해 분석하는 연구도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