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해저지진이 만든 쓰나미(지진해일)가 아시아 지역을 덮쳐 23만명이 사망했고, 지난
7
월 일본 니카타현에 발생한 지진은 200여명의 사상자를 냈다. 인류는 아직도 지진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조차 완벽히 이해하지 못한 채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이런 인류가 지구를 더 많이 이해하게 될 날은 언제일까.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인공위성이라고 본다면 수명이 가장 긴 위성은 30년 전 지구를 떠난 보이저 1호다. 19
77
년 9월 발사된 보이저 1호는 2020년까지 지구와 교신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밴앨런대지구 자기장에 의해 고에너지 대전입자가 모여 있는 방사능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공위성 초미니시대 PART1 똑똑한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바닷물 표본을 수집해 해양생물의 종류와 분포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빙산에서부터 3.
7
km 근처까지는 식물플랑크톤, 크릴새우(남극새우), 어류, 바닷새가 풍성하게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식물플랑크톤의 먹이 미네랄 풍부해빙산 주변에서 어떻게 이런 해양생물이 살 수 있을까. 연구팀은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수 있는 최소시각이 1′이며 시력을 잴 때 일반적으로 쓰는 6m 거리의 시력표에서 1.
7
5mm 간격의 두 점을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시력이 9.0이라면 최소시각이 1/9′이라는 뜻으로 이는 지름 3cm 정도인 오백 원짜리 동전을 1km 떨어진 거리에서 볼 수 있는 정도다. 시력은 유전일까?고대 페르시아의 ... ...
여인의 초상 제
7
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한 번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를 드라마틱하게 던졌다고 칭찬했다. 여론조사에서도
7
대 3으로 래빗을 지지했다. ‘나쁜’ 다음에 과연 래빗이 무슨 말을 던졌는지가 또 다른 화제로 부각됐다. 어떤 이들은 점잖게 ‘사람’이나 ‘녀석’ 정도라고 했지만, 어떤 이들은 복화술사까지 대동해 ...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없어요. 어때요? 이제 곤충과 거미가 확실하게 구분이 됐죠?깡충거미는 다리 하나에 평균
7
만 8000개의 털이 나 있는데 거미의 다리가 8개라는점을 생각하면 모두 60만여 개의 털을 갖고 있는 셈이죠. 8개의 다리에 있는 털이 모두 벽에 붙으면 거미 체중의 약 160배까지 견딜 수 있어요. 스파이더맨이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발견했고 이어서 5월 4일 일본의 아라키 겐이치(荒貴源一)와 영국의 J 알코크가 발견한
7
등의 새 혜성이 그것과 같은 것임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아이라스-아라키-알코크라는 이름이 붙었다 강한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소립자가 공통으로 지니는 성질에 대응하는 물리량 원자핵에서 질량수는 같고 ... ...
부리와 깃털 가진 '초대형' 공룡?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m였다. 성인 남자 키보다 2배가 크고 몸무게는 20배 정도 무겁다. 쭈 박사는 “공룡은 보통
7
살 때부터 성장이 빨라지며 성체로 자라므로 이 공룡이 완전히 자랐다면 몸집이 더 컸을 것”이라며 “처음 발견했을 때 뒷다리 골격이 거대해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의 뼈가 아닌지 의심했을 정도”라고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NRL)로 지정된 한국항공대 우주시스템연구실이 있다. 2년여간 개발한 끝에 지난해
7
월 발사한 1kg짜리 초소형위성 ‘한누리 1호’가 비록 러시아 로켓 이상으로 실패했지만, 현재 개발을 거의 마친 25kg짜리 한누리 2호가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한누리 2호는 독수리 같은 희귀동물을 추적하고 우주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등을 관측한 내용, 망원경의 광학적 원리가 담겨 있었다.흥미롭게도 병자호란(1636~
7
) 때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소현세자가 망원경과 ‘원경설’을 접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 이유는 탕약망과의 친분 때문이다. 1644년 청나라는 북경을 점령하고 명나라를 굴복시켰다. 청나라는 서양천문학을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