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보도
정보
뉴우스
뉘우스
소문
신문
d라이브러리
"
뉴스
"(으)로 총 1,8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뉴스
] 잠 못 이루는 당신, 게임을 끊어라
과학동아
l
201607
수면 부족으로 만성피로에 시달리고 있다면 게임부터 그만두는 것이 좋겠다.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2시간 가량 늦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미국 노스텍사스대 브랜디 로엔 교수팀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성인 963명(평균 나이 28.7 ... ...
[과학
뉴스
]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
과학동아
l
201607
우리 몸은 세포 내 단백질이 수명이 다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유비퀴틴화’ 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쓰레기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분해하는 과정은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미국 퍼듀대 자오-칭 루오 교수팀 ... ...
[과학
뉴스
] 화학실험도 아~트하게, 느낌있게
과학동아
l
201607
화학반응 부산물과 만나면 빛을 내는 나노물질을 플라스크에 넣었다.대조군 플라스크(왼쪽)와 달리 화학반응이 일어난 플라스크(오른쪽)의 색깔이 다채롭게 변하고 있다. 다 똑같아 보이는 시약, 무채색 실험 기구로 가득한 화학실험실은 잊어라. 미국 시러큐스대 매튜 메이어 교수팀이 화학반응 ... ...
[과학
뉴스
] 앙코르와트 인근서 지하도시 발견
과학동아
l
201607
캄보디아 정글 지하에서 900∼1400년 전 번성했던 중세도시가 발견됐다. 호주의 고고학자 대미언 에번스 박사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유적인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인근 정글의 땅 아래에서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은 중세도시들을 발견해 ‘고고학 과학 저널’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레이 ... ...
[과학
뉴스
] 엄마를 두 번 울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병
과학동아
l
201607
부모로서 아이에게 병을 물려주는 것만큼 슬픈 일이 있을까.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은 심지어 어머니의 DNA를 통해서만 유전되는 잔인한 유전병이다. 신생아 5000명 중 한 명이 갖고 태어나는데 이들은 생존하더라도 근육쇠약증, 뇌졸중, 치매, 당뇨 등 질병에 평생 시달리게 된다. 예방할 방법은 현재 ... ...
[수학
뉴스
] 방정식을 풀었더니 웬 테러리스트?
수학동아
l
201606
여름방학이 다가오네요. 여러분은 이번 방학에 어떤 계획이 있나요? 혹시 여행을 떠난다면 비행기를 탈 때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은 삼가세요. 자칫하다가 테러리스트로 몰릴 수 있거든요! 실없는 얘기처럼 들리지만 지난 5월 7일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펜실베니아 경제학과 귀도 멘지오 교수가 ... ...
[수학
뉴스
]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
수학동아
l
201606
수학은 학교를 졸업하면 쓸모가 없다는 편견이 곧 수그러들 전망입니다. 지난 4월 27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제20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정부가 수학으로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수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을 이용해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
수학동아
l
201606
빛과 어둠빅데이터가 만드는 장밋빛 미래하루도 빠짐없이 보도되는 수많은 범죄
뉴스
는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그런데 만약 범죄를 예견하는 초능력자가 있다면 어떨까? 빅데이터는 이 초능력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CCTV로 모은 데이터로 범죄자가 범죄를 일으키기 전에 어떤 행동을 하는지 분석한 ... ...
[과학
뉴스
] 불나방의 초음파 경고 “나 맛없거든!”
과학동아
l
201606
천적에 쫓긴다고 도망만이 능사일까. 박쥐에게 “난 맛없어”라는 독특한 경고신호를 보내는 당돌한 불나방을 자연에서 처음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닉 다우디 연구원은 천적인 박쥐에게 초음파로 신호를 보내 포식을 피하는 불나방(tiger moth)을 자연 환경에서 관찰했다. ... ...
[과학
뉴스
]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
과학동아
l
201606
화학반응의 중간 과정을 파악하는 일은 과학자들의 오랜 목표였다.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분자 구조는 짧은 시간에 여러 차례, 복잡하게 변하기 때문이다. 보통은 반응물질과 생성물질밖에 확인할 수 없었다.그런데 미국 UC버클리와 독일 막스플랑크 물질구조역학연구소 공동연구진이 화학반응의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