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 세계 독감 진원지 동
아시아
과학동아
l
200805
한국을 포함한 동
아시아
, 동남
아시아
지역이 전 세계에 독감을 퍼뜨리는 진원지라는 사실이 확인됐다.영국 케임브리지대 데렉 스미스 교수팀은 2 ... 전문가 게이지 후쿠다는 “정말 놀라운 논문”이라며 “독감의 피해를 줄이려면
아시아
에서 조사활동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05
우주에 간다”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가 우주로 향하기 하루 전인 지난 4월 7일 중앙
아시아
카자흐스탄 남부 바이코누르의 날씨는 화창했다. 구름 한 점 없는 코발트 빛 하늘은 마치 다음 날 발사될 로켓의 앞길이 ‘탄탄대로’라고 말해주듯 투명했다.이 씨가 탑승할 소유스FG 로켓이 서 있는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05
인해 페르시아는 로마제국보다 먼저 세계 최초의 대제국이 됐다. 지중해와 이집트에서 서
아시아
를 지나 인더스강 유역까지 페르시아의 영토는 방대했다.당시 페르시아의 황제는 다리우스 1세. 그는 제국을 20개 지역으로 나눠 통치했다. 그가 가장 역점을 둔 사항은 교통과 유통. 전국의 주요 도시를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05
사실과 성도의 관측기준이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 부근이었다는 점을 밝혔다.그는 동
아시아
천문학과 성도의 전통을 다룬 수많은 강연과 인터뷰, 그리고 논문을 통해 일본에 영향을 준 고구려 천문학의 전통을 알려왔다. 수년 전 조선시대의 목판본 천상열차분야지도(성도)를 일본에서 발견해 이것을 ... ...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 방향 찾는 법
과학동아
l
200805
그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비녀은무늬밤나방은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사는 곤충인데, 영국에 사는 종은 겨울이 되면 번식하기 위해 남쪽 지방인 지중해로 날아간다. 이들은 밤 시간을 골라 지상 150m 상공을 날아서 이동한다.채프먼 박사는 수직으로 음파를 쏘는 ... ...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 탄생!
과학동아
l
200804
18가지 과학실험과 한국을 알리는 퍼포먼스를 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이자
아시아
2번째 여성우주인이 탄생하는 순간의 감동을 느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한민국 최초 우주인 탄생!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고산 미스터리의 진실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03
일부종이 유럽의 극히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식한다고 알려져 왔던 허파없는 도롱뇽류로
아시아
에서는 그 서식이 보고된 바가 없었다. 이끼도롱뇽은 미주도롱뇽과에 속하는 새로운 속(genus)의 신종(species)으로 산림이 비교적 잘 보존된 국립공원이나 도립공원 같은 산악지역에 서식한다.생태,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03
약 3000만 원)의 고된 실험실 생활을 견디지만 지도교수가 학교에서 쫓겨나면서 새로 만난
아시아
계 지도교수에게 이용당하다 실험실을 나온다. 연구에 손 뗀 노(老)교수 밑에서 고생고생하다 좋은 결과를 얻어 마침내 괜찮은 저널에 논문을 싣는데 성공한다. 최신호는 이미 국내 교수로 자리 잡은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03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 2월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브라질과 동남
아시아
의 열대우림과 미국의 초원이 바이오연료의 원료 작물을 키우기 위한 농토로 전락하며 결과적으로 바이오연료가 화석연료를 대체하며 감소시킨 이산화탄소의 양보다 17~420배 많은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고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겨울을 나는 겨울새. 바닷가나 호수, 강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산다.●괭이갈매기 동북
아시아
에서만 볼 수 있는 갈매기로 머리, 가슴, 배는 흰색이고 날개와 등은 잿빛이다. 태안군 난도의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천연기념물 제334호로 지정되어 있다.●황새 천연기념물 제199호. 우리나라에서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