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 형태에서 특정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한다. 이 정보는 뇌 신경망 회로에 저장되고 인지, 판단 등 뇌의 다양한 작업에 활용된다. 뇌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이 과정을 자세히 알아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너의 눈, 코, 입’이 가장 중요1960년대만 하더라도 뇌의 얼굴 인식 과정은 많이 알려져 있지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면역반응을 회피하며 잠복감염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HIV 저장소 재활성화, 유전자치료, 면역치료요법 등 새로운 치료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HIV 감염인이 고령화되면서 에이즈 환자가 아닌데도 합병증 위험이 높아진다는 문제도 있다. HIV로 인해 면역체계가 파괴되면,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이 차지했다. 부산대 팀은 나노선을 이용해 3차원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었다. 사람 뇌의 사고 과정을 모방한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도를 만드는 데는 2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렇게 완성된 지도는 클라우드 컴퓨터에 저장된다. 어라운드가 2차원 라이더로 주변을 스캔해서 간단한 2차원 평면도를 만든 뒤 클라우드에 전송하면 그때부터 컴퓨터는 어라운드의 위치를 계산한다. 어라운드가 전송한 부분이 매장의 어느 위치와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특별한 사고를 당하지 않는 한 한 번 정보를 등록하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번 저장해 놓으면 수십 년이 지나도 주인을 분간한다. 하지만 얼굴은 나이가 들면서 주름이 생기는 등 물리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이런 변화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놓지 않으면 AI의 얼굴 인식 정확도가 떨어질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대로 보지 못하고 마치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것처럼 보고 듣고 경험한 모든것을 뇌에 저장한 ‘마음 속 사진’으로 판단하고 행동한다(과학동아 7월호 참고). 각자 살아온 삶이 다르고 마음이 달라 각기 다른 마음 사진으로 세상을 보기 때문에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결국 사람 ... ...
- [과학뉴스] 햇빛 받아 이산화탄소로 연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메탄으로 바꾸는 활성도가 수백 배 증가한다. 특히 이 방법은 태양광에너지를 직접 저장하는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태양전지에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생성하는 전기량보다, 이산화탄소가 태양광에너지로 메탄을 생산하는 양이 훨씬 많다. doi:10.1038/s41467-017-01165-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소가 생화학 무기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2015년에 주장했다. 거대한 저장 탱크를 지하에 1개, 지상에 2개 등 총 3개 보유하고 있고, 전력 생산을 위한 화력발전소가 포착됐다. 공사 막바지였던 2014년 7월에는 정전에 대비할 수 있는 변전소도 확인됐다. 생물 무기 12종 가운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육칠 박사의 연구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증발하며 온도를 낮춘답니다. 또한 야크찰 내부의 차가운 공기는 커다란 구덩이에 저장돼 냉방 효과가 올라가지요.연구실에 설치된 에어컨을 한참 살펴보던 시원이는 뭔가를 알았다는 듯 환호성을 질렀어요.“드디어 문제를 찾았다! 에어컨 플러그가 안 꽂혀 있었어!”드디어 에어컨이 작동되고,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포분열을 돕습니다. 또 세포분열이 일정 횟수 이상 일어나면 수정란의 세포질에 저장돼 있던 RNA는 분해되기 시작합니다. 반대로 수정란의 유전물질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는데요. 어떻게 이렇게 기가 막힌 타이밍을 잡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유력한 가설 중 하나는 수정란의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