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단"(으)로 총 1,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기간)에 아시아 전체에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그러다 아프리카에서 퍼져 나온 현생인류집단과 유전자 교환을 했고(즉 피가 섞였고), 특히 적응에 유리한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현생인류 안에서 계속 살아남았다는 해석입니다.그렇다면 아시아에서는 왜 데니소바인의 DNA가 발견되지 않을까요. 혹시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크게 감소했다. 야생에서 사람들이 발견한 개체수를 봐도, 17세기까지 2~5마리 가량의 집단도 발견됐지만 18세기 이후에는 한두 마리가 대부분이었다.경제적 이윤도 큰 동기였다. 가죽은 값비싸고 중요한 자원이었다. ‘만기요람’에 나타난 호랑이 가죽과 표범 가죽의 값은 각각 쌀로 13석 5두(약 1200L ... ...
- 빠수니 탈출 백서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비하의 의미가 담겨있다. fanatic과 -dom이 합쳐져 탄생한 단어인 팬덤은 광신도집단증후군 정도로 해석하는데, 특정대상에게 지나치게 몰두하는 사회적 병리현상을 지칭한다. 게다가 남성보다 여성, 성인보다 청소년, 상류층보다는 중하류층이 즐기는 소위 ‘사회적으로 열악한 계층의 향유물➎’로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더 많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돌연변이 수를 바탕으로 추정한 그 생물 집단의 탄생 시점이 사실은 더 오래됐다는 뜻입니다. 돌연변이 수는 인류 진화의 역사를 밝힐 ‘시계’였는데, 그게 눈금이 부정확한 시계가 돼버린 셈입니다.중립설이 부딪힌 더 큰 비판은 따로 있었습니다. 중립설은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장군이를 다시 불러들인 거예요. 유전자 기술 덕분에 반달가슴곰 같은 생물이 어떤 집단에 속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답니다.동식물 생태 연구를 돕는다!2010년 대구에서 멸종위기 동물 수달을 발견했어요. 그런데 수달은 워낙 넓은 지역을 다니며 똥을 싸서 똥만 보고 몇 마리가 사는지 알 수 ... ...
- 최강 홈런왕 미스터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고릴라 집단에서 등이 흰 고릴라는 단 한 마리다. ‘실버백(Silver Back)’이라고 부르는데, 집단에서 가장 힘이 센 우두머리다. 수많은 수컷 고릴라의 도전을 이겨낸 만큼 강한 힘의 상징이기도 하다. 경기장 바깥으로 홈런을 빵빵 때려내는 링링의 힘이 결코 우연은 아니란 뜻이다.고릴라의 덩치는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밀러는 “때로는 무리가 영리한 개인보다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개미 집단지성 능력은 특히 최적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연구는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돼 지금까지 외판원의 이동 경로, 교통, 통신네트워크, 일정관리, 단백질 구조 파악 등을 ... ...
-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7월에 관찰하는 것이 쉽다. 전국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지만, 집단을 이루기 때문에 서식지 밖에서는 듣기 어렵다. 해가 진 이후에도 많이 들린다. 산 속이나 아파트 단지를 가리지 않고 살지만 도심지에서는 높은 나무에 앉아 우는 경우가 많아 채집하기 어렵다. 몸 ... ...
- [20세기의 수학자] 방랑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수그래프 이론에서 다루는 주제 중에는 ‘협력그래프’라는 것이 있다. 어느 특정한 집단에 속한 사람들을 점으로 표현하고, 그 중 서로 협력하는 두 사람 사이에 선을 그어 얻어지는 그래프를 뜻한다. 사람의 수가 많아지면 이 협력그래프에 있는 몇 개의 점에 집중적으로 많은 선이 이어져 있는 ...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무기’가 나타납니다. 바로 사회적 협동입니다. 속해 있는 집단의 크기가 커지면서 집단의 구성원에 대한 정보와, 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났습니다. 두뇌는 이런 다채로운 정보를 저장해 두고 상황에 따라 응용하게 됐습니다. 이것이 인류가 뇌세포를 동시에 100% 쓰지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