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출처"(으)로 총 11,6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다녀오다!기사 l20240613
- 보는 것만으로도 신기했습니다. 연구실 안의 사진은 찍을 수 없어서 신문에 나온 김경자 센터장님의 인터뷰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출처: KBS뉴스 취재K / 2022.12.26자) 그 다음엔 연구실에서 을 보았습니다. 운석의 값어치는 100만원~1000만원 대라고(1000원이 아니고요! 1000만원입니다!) 김경자 우주자원개 ...
- 한강을 되살리다, 한강 종합 개발 사업기사 l20240611
- 공간, 강변도로, 차량 진입도로, 지하보도, 체육 시설 등을 형성했죠. 그리고 무려 5427억(!)을 투입하여 하수처리장을 건설했어요.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은 한강을 인공 하천으로 만들어 생태계가 빠르게 복구되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도 있지만, 한강의 기적을 마무리짓고 지금의 깨끗하고 찬란한 한강을 완성시킨 사업이며 ...
- 역사 속으로! 경주 여행기!기사 l20240610
- 2고, 어깨가 3, 왼쪽 무릎부터 오른쪽 무릎까지의 길이가 4라는 겁니다!! 신라 사람들도 자 같은 나름의 도구가 있었다는 거겠죠?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빛과 소금 마지막 미스터리는 돔 모양 천장입니다. 어떻게 무거운 돌들을 돔 모양으로 지을 수 있었을까요? 가끔 받혀주는 돌을 끼워 넣어 무너지지 않을 수 있다고 하네요. 석굴암도 ...
- 동물들이 자신의 몸을 지키는 방법기사 l20240609
- 벌을 흉내내서 몸을 지킵니다. 독침이 있는 벌을 건들지는 않겠죠. 벌을 흉내내지만 등에는 사실 파리목이고 독침이 없습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낙타거미는 낙타 사체에 모인 곤충을 먹으려고 오기 때문에 이름이 붙었습니다. 낙타거미는 이름은 거미지만 사실은 전갈에 더 가깝다고 합니다.(그렇다고 전갈은 아닙니다.) 낙타거미는 ...
- 개복치 정말로 잘 죽을까요?기사 l20240609
- 자고 있어요. 개복치는 수면위로 떠서 휴식을 취하다니까 신기하죠? (출처: Animalia, n.d.) 개복치는 잘 죽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저도 전에 이선주 작가님의 "이런, 개복치"라는 동화책을 봤습니다. 주인공 물고기는 개복치를 60마리째까지 겪으면서 다른 개복치들은 해초에 엉켜 놀라 죽고, 오징어가 뿜는 먹물에 놀라서 죽고, 갈치들에 ...
- 여러 종류의 이끼기사 l20240608
- 안녕하세요. 저는 과학의 달인 김선우 기자입니다. 여러분은 이끼를 좋아하시나요? ※참고로 저는 이끼를 싫어해요~~~~~※ 이끼는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이끼는 선태식물문에 속하는데 선태식물문의 강(강(綱)은 생물 ... 대한민국 전역에 나며, 전 세계에 분포합니다. [2] 솔이끼 (아마도) ...
- 북한에서 날아온 오물 풍선기사 l20240608
- 북한의 오물풍선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북한이 28일밤부터 남쪽을 향해서 오물과 쓰레기를 담은 풍선들을 날려 보냈습니다. 출처 : 데일리한국(https://daily.hankooki.com) 북한과 가까운 경기, 강원을 비롯해 멀게는 경남과 전북에서도 풍선이 발견됐습니다.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260개가 넘습니다. 북한이 살포한 ...
- 추천하는 우주 관측 앱, 스텔라리움과 솔라 시스템 스코프기사 l20240608
- 하면 되요. 참고로 한국어도 지원을 하긴 하지만 번역이 이상한 것도 있으니 웬만하면 영어로 하는 것이 가장 나을 것 같아요. (사진출처: App Advice) ☆솔라 시스템 스코프 솔라 시스템 스코프도 과학 수업 때 알게 된 앱이에요. 사이트에서 구동하는 것은 PC와 Mac에서만 가능하고, 앱에서 구동하는 거면 PC와 Mac은 유료, Mobil ...
- 교통난을 해소하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기사 l20240608
- 이후락 중앙정보부장도, 박정희 대통령도 1호선 개통을 지지하자, 마침내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죠. (사진출처: 서울특별시) ♧그 이후 이후 1980년에 2호선, 1985년에는 3호선과 4호선, 그리고 1995년에 5호선이 개통되었어요. 그리고 지금은 9호선까지 나온 상황이죠. 서울 지하철의 현 운임제도는 수도권 통 ...
- 우리나라 현대사가 담긴 대한뉴스기사 l20240608
- 912호부터 방송하기 시작했어요. 흑백과 컬러가 섞여있는 뉴스도 있는데, 대왕코너 화재 사고를 다룬 1008호가 그런 경우이죠. (사진출처: 서울신문)그러나 대한뉴스도 점점 폐지의 길을 걷게 되었어요. 영화 상영전 대한뉴스, 문화영화 상영시간이 너무 길다는 관람객의 불만이 컸고, KBS와 MBC를 비롯한 TV 뉴스의 보급이 이루어지면서 대한뉴스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