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문이불여일짤] ① 아무리 먹어도 안 줄어드는 초콜릿이 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01.09
보이지만, 사실은 조각마다 기울기가 제각각인 엉터리 퍼즐인 셈인 거죠. 그래서 조각의
배열
을 다르게 하면, 기울기의 오차로 인해 작은 조각 하나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겁니다. 아무리 먹어도 줄어들지 않는 초콜릿도 마찬가지입니다. 4단계쯤에서 빈틈이 생기더니, 결국 부스러기를 모아 ... ...
도넛으로 만든, 먹음직한 초상화
팝뉴스
l
2017.01.06
가까이 다가서면 설수록 이내 눈에 들어오는 것은 형형색색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
된 도넛들뿐. 각양각색 시럽을 입힌 도넛을 하나하나 촬영한 후 이를 다시 색과 톤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화소로 이용한 캔디스는 좀 더 기발하고 독특한 초상화 작업을 하기 위해 도넛을 활용하게 되었다고. ... ...
[카드뉴스] 눈결정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결정격자를 이룰 때 육각형 형태를 띠기 때문입니다. 즉 결정의 형태에는 분자의
배열
이 반영된다는 말이죠. 복잡한 잔가지가 생기는 이유는 습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눈결정의 모서리 쪽에 상대적으로 수증기가 모이게 됩니다. 따라서 모서리가 더 빨리 자라 가지가 ... ...
사이언스 선정 ‘올해의 10대 과학 연구 성과’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3
굴곡을 만드는 대신 나노 크기의 이산화티타늄으로 만든 핀을 평면의 유리 표면 위에
배열
해 빛의 방향을 조절했다. 빛의 파장보다도 짧은 거리에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고, 40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체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뜻한다. 예를 들어 메타물질은 일반 물질의 특성을 부여하는 원자 대신 원자들의
배열
, 즉 메타원자가 그 특성을 부여하는 물질이다. 메타게놈은 한 종의 게놈이 아니라 시료에 있는 모든 생명체의 게놈을 뜻한다. 즉 한 번에 한 종씩 게놈을 분석하는 게 아니라 한꺼번에 다 분석할 수 있는 기술 ... ...
[제13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무궁화를 확대하면 바이러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6.12.19
모습을 닮았다. 수술대에 붙은 꽃가루는 공교롭게도 표면에 단백질이 규칙적인 모양으로
배열
돼 있는 바이러스와 닮았다. 그 바이러스가 세포를 침투하고 있다. ※ 편집자 주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충청북도와 (재)오송바이오진흥재단, 충북대가 주최하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충북대 ... ...
‘3차원 그래핀’부터 원자 한 개로 이어진 초미세 전선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16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 연구팀이 해결했다. 아주 작은 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열
된 나노 구조체인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탄소를 입히는 방식으로 3차원 그래핀을 합성했다. 이 연구는 올해 6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 #2. 유전자 치료의 열쇠 ‘드로셔 단백질 구조’는 ... ...
(영상) [2016 노벨 화학상] 초소형 메모리칩에 쓰이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6.12.12
1999년 발명한 ‘분자 모터(Molecular Motor)’는 특정 분자가 열과 빛을 받으면 내부 원자의
배열
이 바뀌면서 회전하는 원리를 이용했습니다. 네덜란드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는 이런 분자 모터 네 개로 ‘나노 자동차(Nano Car)’를 만들어 2016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습니다. 세상에서 ... ...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11.28
한다. ‘상세히’ 기록한다는 것은 이 기록만으로도 뼈들을 원래 현장에 있던 상태로
배열
할 수 있는 정도가 돼야 한다는 말이다. 위 사진 매장지가 속한 현장의 도면. 이렇게 자세히 도면을 그렸기 때문에 현장에서 발굴된 32구의 시체를 온전히 개체 구분할 수 있었다. - 정양승 제공 당연히 ... ...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
과학동아
l
2016.11.19
촬영한 심우주 영상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
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포가 달라지는 3차원 공간에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3차원 이미지에서 은하의 개수를 셌다. 또 망원경으로 촬영할 수 없는 우주 영역에 있는 은하의 개수를 추정할 수 있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