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뉴스
"
세계
"(으)로 총 22,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2024년도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5년간의 대표적 업적을 평가해 부문별 수상자를 선정한다. 윤 본부장은 국내 독자 기술로
세계
최초의 광중합 기반 다종 세라믹 3D프린팅 소재·부품·장비 기술과 무소결 세라믹 3D프린팅 기술을 개발해 각종 특허 및 기술이전을 이뤘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유영동 교수, 로봇수술학회 우수비디오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하고 있다. 고대안암병원 제공. ■ 고려대안암병원은 유영동 간담췌외과 교수가 ‘2024
세계
임상로봇수술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수 비디오상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유 교수는 단일공 로봇수술장비 다빈치 SP를 이용한 췌두부십이지장절제술 15례 경험을 바탕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절개 부위 ... ...
1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최성인·안성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안 연구원은 “앞으로도 혁신적인 바이오 제품 개발을 통해, 실험실 자동화 분야에서
세계
적인 바이오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
국가 암검진에
세계
첫 AI 활용…루닛, 호주 NSW 주정부서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서범석 루닛 대표는 “BSNSW 프로젝트는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에서 AI의 역할을 모색한
세계
최초의 시도"라며 “엄격한 검증 과정을 거쳐 실제 의료 현장에서 의료진을 지원하고 여성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
비만은 BMI 25 vs 27?…"허리둘레, 체지방률을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8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BMI는 체중(kg)을 신장(m 단위)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세계
보건기구(WHO) 서태평양 지역 기준에 따라 한국은 25 이상일 때 비만이다. 건강보험연구원은 성인 847만명을 21년간 추적 관찰해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다는 점을 확인했다. 사망 위험은 18 미만과 35 ... ...
인기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원래 당뇨 치료제였다?…신약 재창출의
세계
과학동아
l
2024.12.07
다음에 새로운 전염병이 닥쳐올 때 신약 재창출을 통해 치료제를 만들 수 있다면
세계
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겁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2월호, '위고비' 국내 출시로 살펴본 신약 재창출의 모든 것 ... ...
[사이언스영상] 대왕고래보다도 큰 산호
SEIZE
l
2024.12.07
탐사팀 프리스틴 시즈 제공 11월 14일 내셔널 지오그래픽 탐사팀 ‘프리스틴 시즈’가
세계
에서 가장 큰 산호를 솔로몬 제도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산호는 지금까지 가장 크다고 알려진 아메리칸 사모아 산호보다 3배나 더 컸다. 이번에 발견한 산호는 ‘파보나 클라버스(Pavona clavus)’라고 ... ...
식욕 억제 새 신경세포 발견…위고비보다 나은 비만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6
시상하부에 위치한 신경세포 수용체에 작용해 식욕을 감소시키는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세계
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차세대 비만치료제의 단서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제프리 프리드먼 미국 록펠러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포만감과 식욕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2024 대한민국 여성과학기술인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06
지구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전을 이끌어내기 위한 자리다. 이번 회의에는
세계
최대의 증권거래소인 뉴욕 증권거래소(NYSE)의 린 마틴 사장을 포함해 20여개국 130여명의 기업인이 참여했다 ... ...
미국 유명 건강전문지 '헬스', 김치의 항비만 효과 조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06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김치의 건강 기능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한국의 김치가
세계
적인 건강식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doi.org/10.1016/j.jff.2024.10640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